24일 국민일보·지앤컴리서치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25%가 새누리당의 4·13총선 참패 이유로 ‘불통의 대통령 국정운영 스타일’을 1위로 꼽았다. ‘부진한 경제로 인한 집권여당에 대한 실망감’과 ‘공천 과정에서 드러난 독선적인 행태’가 각각 23.0%로 공동 2위였으며 ‘20·30대 투표율 상승’(13.6%), ‘양당체제에 불만을 가진 유권자의 제3정당 선택’(8.9%)이 뒤를 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스타일이 여당의 총선 패배에 주원인을 제공했을 것으로 많은 이들이 짐작은 했지만, 구체적 수치로 나타난 것은 선거 이후 처음이다. 특히 조사 결과는 남은 임기의 국정운영 방향을 역설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마디로 소통이다. 대통령이 대한민국호(號)를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해법이다. 그런 점에서 지난 22일 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2016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정부가 누리과정(만 3∼5세 무상교육) 예산을 특별회계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한 것은 유감스럽다. 지방에 정부 예산을 지원할 때 누리과정에만 쓰게 강제할 수 있도록 관련 법을 개정하겠다는 것인데, 당장 야당이 반발하고 나섰다. 야당이 반대한다고 무조건 하지 말자는 것은 아니다. 야당이 반대해도 옳은 방향이면 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상당한 논란이 있었던 현안이다. 불쑥 던져놓고 야당보고 따라오라고 하는 식의 국정운영은 더 이상 통할 수 없게 됐다는 얘기다. 민생과 경제 입법은 야당의 협조 없이는 국회 문턱을 넘을 수 없고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을 기대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전처럼 훈계조 책망만 해서는 야당은 물론 국민들로부터도 협조를 받을 수 없다는 게 여론조사로 나타났다.
결국 대통령은 국정을 제대로 하려면 싫든 좋든 야당과 만나 대화하고 설득하는 수밖에 없다. 한 번으로 안 되면 수십 번을 만나서라도 합의점을 이끌어내야 한다. 국민들에게도 정책 추진의 선후 과정을 설명하고 이해를 얻어야 한다. 각계 원로들을 초청해 의견을 수렴하는 것도 소통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진정성을 갖고 임한다면 레임덕에 빠지지 않고 오히려 임기 후반에 성과를 낸 대통령으로 기록될 수도 있다.
[사설] 대통령의 ‘불통 국정운영 스타일’ 바꾸라는 여론
입력 2016-04-24 1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