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구조조정에 속도를 낼 것을 주문한 이후 해운·조선업계의 논의가 급진전되고 있다.
한진해운보다 먼저 채권단 자율협약에 들어간 현대상선은 회생의 관건인 용선료(화물선박 임대료)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22일 “외국 화물선주와의 용선료 협상은 외부에 알려진 것보다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최근의 논의에서 용선료 인하와 채권단의 출자전환 약속 등을 연계하는 방안에 화물선주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채권단은 향후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의 합병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지만 해양수산부와 해운업계는 소극적이다.
조선업계는 대규모 인원 감축을 통한 회생으로 방향을 잡았다. 정부는 조선업을 사상 처음 특별고용업종으로 지정해 순조로운 구조조정을 돕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제도는 대규모 정리해고 등 고용 사정이 급격히 악화할 우려가 있는 업종을 지정, 집중적으로 실업 관련 지원을 하는 대책으로 지난해 12월 도입됐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조선업은 노동집약적인 산업인 만큼 부실기업 구조조정을 하면 지역경제에 타격이 크기 때문에 취약업종으로 거론돼온 해운·철강·건설업 등보다 앞서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특별고용업종으로 지정되면 1년간 고용유지지원금과 특별연장급여 등이 정부 예산으로 지급된다. 전직과 재취업을 위한 지원도 대폭 확대된다. 지정 여부와 지원 방식 등은 고용부 장관 주재로 열리는 고용정책심의회에서 결정된다. 이 관계자는 “특별고용업종 지정을 위해선 임금삭감 등 강력한 자구 노력이 전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지방 기자, 세종=윤성민 기자 fattykim@kmib.co.kr
현대상선 용선료 협상 순조
입력 2016-04-22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