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대표 추대론’ 논란 재점화

입력 2016-04-21 21:46
더불어민주당에서 ‘김종인 추대론’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문재인 전 대표는 21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합의추대와 관련해 회의적인 입장을 밝힌 반면 비주류인 이종걸 원내대표는 공개적으로 합의추대 가능성을 언급하는 등 혼선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文 “우리 당에서 가능하겠나”=문 전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더컸유세단’ 일부 인사들과 오찬을 하며 김 대표의 합의추대와 관련해 “우리 당에서 그것이 가능하겠나”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문 전 대표는 (추대론과 관련해) 한마디밖에 안했다”며 “개인적으로는 ‘우리 당은 대표가 돼도 대표직을 유지하기 힘든데, 누군가를 추대하는 합의에 이르는 것이 가능하겠느냐’는 취지로 들렸다”고 전했다.

문 전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직전 당대표였기 때문에 아직은 당내 현안에 대해 개입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저를 개입시키지 말아 달라”며 말을 아꼈다. 그러나 그동안 입장을 밝히지 않았던 문 전 대표의 ‘의중’이 알려지면서 합의추대론과 관련한 당내 주류 진영의 입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 당직자는 “김 대표 측에서는 문 전 대표가 모종의 역할을 해주길 바랐는데, 오늘 발언으로 다시 대립각을 세우는 모습으로 비칠까 걱정된다”고 전했다.

◇이종걸 “합의추대 버릴 카드 아냐”=그러나 당내에서는 주류·비주류를 막론하고 김 대표가 당을 계속 이끌어야 한다는 의견도 개진됐다. 비주류인 이 원내대표는 SBS라디오 인터뷰에서 “합의추대도 완전히 버릴 카드가 아니다”라며 “합의추대라는 것이 이례적이기는 하지만 (김 대표가) 역사상 최초로 야당을 제1당으로 만들어줬다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 논의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야권 험지인 부산에서 생환한 친노(친노무현) 진영 당선인들도 김 대표가 내년 초까지 당을 이끌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전재수(부산 북강서갑) 당선인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총선 민심은 경제를 살리고, 당내에서 싸우지 말라는 것”이라며 “문 전 대표가 사퇴하고 김 대표가 그 자리를 이어받은 만큼 내년 2월까지 문 전 대표의 임기를 채우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박재호(부산 남을) 당선인도 “전대를 열어 계파 간 갈등이 노출되는 것보다 낫다”고 했다.

범친노계로 분류되는 박범계 의원은 YTN라디오 인터뷰에서 “김 대표의 경쟁력이 만만치 않다”며 “(대표) 경선 출마 검토를 권유하고 싶다”고 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