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권능력’ 시험대 오른 2野

입력 2016-04-21 17:58 수정 2016-04-21 21:11
야권이 정부가 추진 중인 기업 구조조정 방침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구조조정 문제 해결이 야권의 수권능력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구조조정 문제 해결을 중도층 공략과 함께 ‘유능한 경제정당’으로서의 면모를 부각시킬 수 있는 기회로 보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논의 자체를 금기시했던 야권이 먼저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서자 야권에 적극 손을 내미는 모양새다. 산업구조 개혁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기획재정부는 21일 부실기업 구조조정을 위해 야당과 협의에 나설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회 개원을 전후해 새누리당 지도부는 물론 더민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를 찾아 협조를 구할 방침이다. 정부와 야당 간 ‘야·정(野·政) 협의체’ 가동도 가시화되고 있다.

경제 이슈를 선점하기 위한 야권 내 경쟁도 가열되고 있다. 더민주는 구조조정 로드맵과 대안 마련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신설키로 했다.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 대표는 정부 및 청와대와 소통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경제 드라이브를 이어갔다.

국민의당은 구조조정을 넘어 산업 전반의 구조개혁을 요구하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는 대전 기자간담회에서 “근본적인 구조개혁을 선도해야 할 정부가 국회 탓만 하며 골든타임을 놓쳤다”며 “문어발식 재벌 구조가 아닌 글로벌 수준 전문 대기업으로의 재편과 세계적 중견기업군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산업 구조개혁 계획에 대해서는 “도대체 어떤 부분을 어떻게 개혁할 것인지,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뭘 한다는 것인지 내용이 없다”고 비판했다.

새누리당은 일단 야권의 구조조정 논의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새누리당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야권에서 먼저 구조조정을 해야겠다고 나서니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여야정 협의체를 구성해 경제적 약자에 대한 안전장치 등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새누리당이 구조조정 논의와 노동개혁 4법의 동시 처리를 요구하면서 난항도 예상된다. 김 정책위의장은 “구조조정하는 데 있어 노동개혁도 빠질 수 없는 분야”라며 “노동개혁도 같이 논의하기를 강력하게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두 야당은 정부의 노동개혁법이 구조조정과 함께 처리할 사안이 아니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