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외교차관 서울서 회동… “北 추가 도발 땐 강력 압박”

입력 2016-04-19 21:58
한·미·일 3국 외교차관이 서울에서 만나 북한의 전략적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북한이 5차 핵실험 등 추가 도발을 감행할 경우 더욱 강력한 압박을 취해야 한다는 데 뜻을 함께했다.

임성남 외교부 1차관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부장관, 사이키 아키타카(齋木昭隆)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19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제3차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를 가졌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임 차관은 협의회를 마친 뒤 열린 공동기자회견에서 “(한·미·일은) 북한의 추가 도발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국제사회의 엄중한 경고에도 북한이 또다시 도발을 감행한다면 국제사회의 더욱 강력한 제재와 깊은 고립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블링컨 부장관은 지난달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270호와 관련, “이제 효과가 발휘되고 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북한에 상당한 압력이 될 것”이라면서 “북한은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이며 수주에서 수달 뒤 그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미·일은 북핵·북한 문제 외에 개발협력과 보건, 기후변화, 해양환경 등 글로벌 차원의 문제에 대해서도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미·중, 중·일 간 갈등의 소지가 있는 남중국해 및 동중국해 문제와 관련해선 원칙적 수준에서 인식을 공유했다. 임 차관은 “(3국은) 항행 및 상공비행의 자유, 분쟁의 평화적 해결의 중요성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기자회견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체결 논의가 이뤄졌느냐’는 질문이 나왔지만 한·일 외교차관은 즉답을 피했다. 임 차관은 “북한의 핵 위협 대응을 중심으로 협의가 이뤄졌다”고, 사이키 차관은 “(3국은) 모든 분야에서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고만 했다.

임 차관과 사이키 차관은 협의회에 앞서 한·일 외교차관회담을 가졌다. 두 차관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재단 설립 등 ‘12·28 위안부 합의’ 이행을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