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고용 중점 관리 사업장 76곳으로 확대

입력 2016-04-19 21:15
정부가 대기업의 장애인 고용을 확대하기 위해 중점 관리 사업장을 76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고용노동부는 19일 서울 중구 서울맞춤형훈련센터에서 자회사형 장애인표준사업장 인증식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장애인 고용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30대 대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은 여전히 법정 의무 고용률(2.7%)에 못 미치는 1.9%에 그치고 있다. 민간 기업 평균인 2.25%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고용부는 이에 30대 대기업 집단 계열사 중 장애인 고용률이 1.5% 미만인 76개 기업을 중점유도 사업장으로 지정해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으로 유도키로 했다. 현재 44곳인 중점 유도 사업장을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또 대기업이 장애인 고용을 위한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을 설립하면 지급하는 지원금도 현재 총 투자소요액의 절반에서 75%로 확대키로 했다.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은 모회사가 자회사를 설립해 전체 근로자의 30% 이상, 최소 10명 이상 장애인(절반은 중증장애인)을 고용하면 이를 모회사가 고용한 것으로 간주하는 제도다.

정부는 이와 함께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인프라도 확충한다. 직업훈련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수도권 남부 지역에 연간 300명 훈련 규모의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원을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천안, 창원 등에는 반도체, 기계 등 기업 직무에 맞춘 채용 훈련을 집중 지원하는 맞춤훈련센터도 설치할 계획이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