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본격적인 소환조사에 돌입했다. 가습기 살균제 제조·판매업체인 옥시레킷벤키저(옥시)가 은폐, 실험결과 조작 등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으로 드러나면 사법처리 대상이 확대될 수 있다.
서울중앙지검 가습기 살균제 특별수사팀(팀장 이철희 형사2부장)은 19일 옥시의 인사 담당 김모 상무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업체 관계자로는 첫 소환이다. 옥시 제품이 가장 많은 피해자를 낳았기 때문이다. 가습기 살균제 사망자 146명 가운데 103명이 옥시 제품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찰은 문제가 된 가습기 살균제를 판매하기 시작한 2001년 이후 인사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인사 담당 임원을 불렀다.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누구의 주도로 어떤 대응을 했는지, 제품 출시 전후의 의사결정 체계는 어땠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따져 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전·현직 경영진을 수사선상에 올렸다. 이미 옥시가 자신들에 유리한 독성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 연구원 매수를 시도하고, 부작용을 호소하는 소비자의 인터넷 게시글을 삭제하는 등 조직적으로 대응한 정황을 포착했다. 검찰은 2001년부터 대응책 마련에 관여해온 핵심 관계자 1, 2명이 여전히 옥시에 근무 중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파헤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사법처리 대상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또 검찰은 가습기 살균제 원료물질인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 관련 특허를 보유한 SK(옛 유공)가 17년 전에 특허를 출원하면서 이 물질의 위험성을 경고했던 사실을 확인했다. 1999년부터 업계 내부적으로는 원료물질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음을 이미 알고 있었을 개연성이 높아진 것이다.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옥시 임원 소환 경영진 개입 추궁… 檢, 사법처리 대상자 확대 가능성
입력 2016-04-19 21:22 수정 2016-04-20 1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