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미래 자동차 기술의 결정체로 불리는 ‘커넥티드카’ 개발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이 핵심인 커넥티드카의 특성상 관련 노하우를 보유한 업체들과 활발한 협업이 진행되고 있다. 현대자동차도 세계 최대의 네트워크 장비 및 솔루션 기업인 시스코와 손잡고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현대차는 19일 서울 양재 사옥에서 정의선 부회장과 척 로빈스 시스코 CEO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만남을 갖고 차량 네트워크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현대차는 시스코와 협업을 통해 차량 내부 데이터 송수신 제어를 위한 초고속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커넥티드카는 IT 기술과 융합된 차량을 의미한다. 자동차를 다른 차량이나 교통 인프라와 무선으로 연결해 각종 정보를 주고받게 된다. 완전한 자율주행차를 만들기 위해선 커넥티드카 기술이 필수적이다. 현재 상용화된 자동차는 제어해야 할 데이터양이 많지 않아 소용량의 저속 네트워크가 기본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미래 커넥티드카의 경우 송수신되는 데이터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차량 내 초고속 연결망이 구축돼야 한다.
정 부회장은 “시간과 공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게 될 미래 커넥티드카는 지금까지 전혀 경험해보지 못한 놀랍고 새로운 생활의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며 “미래 모빌리티의 품질·안전·보안 측면에서도 완벽한 혁신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로빈스 CEO는 “이번 협업을 통한 기술적 혁신은 디지털에 의한 자동차 산업의 파괴적 변화를 이끌게 될 것”이라며 “기술에서 앞선 양사의 경쟁력이 업계 선두 플랫폼을 구축하는 핵심이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현대차와 시스코는 공동으로 커넥티드카 모의 테스트 프로젝트도 진행하기로 했다. 이 테스트 프로젝트에는 국내 스타트업(벤처기업)을 참여시켜 관련 기술의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도 힘을 기울이기로 했다.
다른 글로벌 업체들도 커넥티드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요타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합작으로 자동차에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회사 ‘도요타 커넥티드’를 최근 미국 텍사스에 설립했다. 도요타와 MS는 2011년부터 제휴를 맺고 빅데이터 활용 방법을 공동으로 연구 중이다.
닛산과 미국항공우주국(NASA·나사)은 운전자 없이 움직이는 자동운전 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양측은 올해 말까지 시제품을 만든 뒤 나사의 시설에서 실험에 돌입할 예정이다. 닛산은 2020년까지 자동운전 기술을 상용화한다는 방침이다.
BMW는 중국 최대 검색엔진 업체인 바이두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자동운전 차량을 이용해 작년 연말 베이징 시내에서 30㎞ 거리를 달리는 실험에 성공했다. BMW와 바이두는 2014년부터 자동운전 차량 개발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양사는 조만간 미국 내서도 시험주행에 나설 계획이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커넥티드카 개발 ‘글로벌 동맹’ 속도전… 현대車 가세
입력 2016-04-20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