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원유철 비상대책위원장안을 둘러싼 논란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비대위가 출범도 하기 전 강한 반발에 부닥쳐 위원 선임도 쉽지 않아 보인다.
원 원내대표는 18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나라고 이 자리를 하고 싶겠느냐”며 “내가 손을 놓으면 당은 아무것도 못하는 상황이 된다”고 불가피론을 폈다. 그는 원내대표단 오찬 모임에서도 “지도부 공백을 피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맡았는데 국민들에게 당헌·당규상 절차 문제를 얘기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숙명이라고 생각하고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현재 이우현 홍철호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최고위가 결정한 대로 하는 게 옳다”고 원 비대위원장안에 힘을 실었다. 이들은 비대위 구성 논의 등을 위한 3선 이상 중진 연석회의를 제안했다.
하지만 비박(비박근혜)계를 중심으로 비토 기류가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다. 정두언 의원은 YTN라디오에서 “권력을 위해 입안의 혀처럼 군 사람이 그(원 원내대표) 사람인데 그래 갖고 새누리당에 뭘 기대하겠느냐”고 비판했다.
원 원내대표는 공개적으로 비대위원장 퇴진을 요구했던 이학재 황영철 오신환 의원 등과 19일 만찬 회동을 갖기로 했다. 황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언론 보도만으로는 원 원내대표가 무슨 생각을 갖고 있는지 모르겠다. 직접 만나서 얘기를 들어보겠다”고 했다. 회동엔 김영우 하태경 박인숙 의원도 참석할 예정이다. 당내에선 비대위와 별도로 여권 내부의 통합과 혁신을 주도할 ‘통합과 혁신위원회’(가칭) 구성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원 원내대표 측은 물밑에서 몇몇 의원에게 비대위 참여 의사를 타진하고 있지만 선뜻 나서는 사람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비대위는 원 위원장을 포함해 10명 안팎으로 구성될 전망이다. 김황식 전 총리를 비롯해 교수 등 외부 인사 영입 주장도 계속 나온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與 비대위원장 ‘김황식 영입론’ 솔솔… 원유철 비대위 비토 확산
입력 2016-04-18 21:20 수정 2016-04-18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