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3당 “19대 마지막 임시국회” 합의… 최악 ‘입법 성적’ 면할까

입력 2016-04-18 21:26
정의화 국회의장(오른쪽 세 번째)이 18일 4·13총선 이후 처음으로 3당 원내대표들과 국회의장실에서 회동을 가진 자리에서 이종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오른쪽 두 번째) 및 주승용 국민의당 원내대표(오른쪽)와 밝은 표정으로 악수하고 있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홀로 옆에 서 있는 모습이 신(新) 여소야대 정국을 대변해주는 듯하다. 이병주 기자

19대 국회 마지막 임시국회가 오는 21일부터 한 달간 열린다. 4·13총선으로 20년 만에 형성된 3당 체제를 대표하는 여야 3당의 원내사령탑이 18일 이같이 합의했다. 최악으로 불린 19대 국회에서 ‘유종의 미’를 거두자는 취지였다.

하지만 각 당이 만족하는 입법 성적을 거둘지는 미지수다. 새누리당이 요구하는 노동개혁 4법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사이버테러방지법 처리는 여전히 ‘야2당’과의 입장차가 크기 때문이다.

다만 ‘캐스팅보터’로 부상한 국민의당의 중재 역할이 관전포인트다. 새누리당 원유철, 더불어민주당 이종걸, 국민의당 주승용 원내대표가 이날 국회의장실에서 머리를 맞댄 자리에서도 국민의당은 목소리를 키우고 나섰다.

주 원내대표는 “세월호가 7월에 인양되면 6월 말 끝나는 세월호 특별조사위가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면서 활동기간 연장을 위한 세월호 특별법 개정을 요구했다. 총선을 앞두고 창당된 국민의당이 원내 협상에 참여하기는 처음이다.

이 원내대표는 “주 원내대표가 말한 것에 100% 동의한다”며 “국민의당과 더민주의 입장이 같은 중소기업 적합 업종 관련 법률이나 청년 일자리 고용 할당제, 부동산 임대차 보호법 등은 국민의 지상명령”이라고 화답했다. 여당의 중점 법안에 대해선 “그동안 청와대발(發) 민생경제 활성화라는 것이 국민들에 의해 거부됐다”고 했다. 세월호 특검 도입과 역사 교과서 국정화 철회 방침까지 밝혔다.

원 원내대표는 “19대 국회가 두 달 남았는데 남은 기간이라도 최선을 다해 민생법안을 최대한 처리해 민생을 살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으나 새누리당만 힘이 빠진 모양새다. 총선 참패로 후폭풍에 휩싸인 상황에서 입법 동력을 끌어올리기도 쉽지 않다.

세월호 특별법 개정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는 더민주와 국민의당은 의료 민영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이유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에 사실상 반대한다. 노동개혁 법안에 대해선 더민주가 강력 반대하는 데 비해 국민의당은 “파견법은 노사정위에서 다시 논의하도록 하자”는 다소 유연한 입장이지만 이마저 이번 임시국회 처리까지는 갈 길이 멀다. 사이버테러방지법 처리는 새누리당만 촉구하고 있다.

이번 임시국회에서는 다음 달 두 차례 본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돼 있는 법안 93건 중 ‘무쟁점 법안’들이 상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