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괄 복당 제동 건 친박계… 유승민 뺀 선별 복당 명분 없어 고심

입력 2016-04-17 20:05 수정 2016-04-17 21:41
무소속 유승민 당선인이 지난 14일 대구 동구의 한 재래시장에서 시민들에게 당선 인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가 무소속 당선인 일괄 복당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인위적인 국면 전환은 역풍을 맞는다는 신중론을 폈지만 내심은 ‘유승민 비토론’이라는 게 당내 평가다.

새누리당은 총선 참패 직후인 지난 14일 밤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무소속 복당의 문호를 대개방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박근혜정부의 성공적 마무리와 차기 정권 재창출에 동의하는’이란 단서를 달긴 했지만 형식적인 문구였다. 선거 전 복당불가를 외쳤던 친박도 이를 묵인했다. 그런데 주말 사이 급하게 서두를 문제가 아니라는 쪽으로 기류가 바뀌었다.

한 친박 중진 의원은 1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무소속 당선인 복당 여부는 새로 선출될 지도부가 결정할 문제”라며 “비상대책위원회는 선거 수습을 위한 임시 기구일 뿐 중요한 결정을 할 수 있는 건 아니다”고 했다. 다른 의원은 “선거가 끝나자마자 복당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 국민들에게는 반성은 안 하고 어떻게든 원내 제1당 자리만 차지하기 위해 꼼수를 부리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유승민 의원 복당에 대해선 부정적 기류가 강했다. 이한구 전 공천관리위원장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그렇게 가면 새누리당은 또다시 ‘이념 잡탕당’이 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또 다른 의원도 “당의 정체성과 안 맞는다고 내쫓은 사람을 다시 받는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청와대가 누구는 되고 안 되고 말할 처지가 못 된다”면서도 “유 의원 복당이 박근혜정부 후반기 국정 운영에 도움이 될지에 대해선 회의적 시각이 많다”고 했다. 유 의원이 당내에서 사사건건 문제 제기를 하면 오히려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친박 입장에선 유 의원을 제외한 선별 복당이 최선의 시나리오지만 명분이 없고 현실성도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다.

친박이 시간 끌기에 나선 건 차기 지도부 구성과도 연관돼 있다는 분석이다. 다음달 초로 예정된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계 의원이 당선되면 비대위원장 권한을 이양받아 복당 원칙을 정할 수 있게 된다. 주자로는 4선 고지에 오른 유기준 홍문종 의원 등이 거론된다.

친박은 총선 참패의 결정적 원인이 공천 문제였다는 점은 인정했다. 그러면서도 김무성 대표의 책임론을 여전히 제기했다. 한 중진 의원은 “‘박근혜 공천’을 하든 ‘김무성 공천’을 하든 컬러가 확실했어야 했는데 중구난방이었고 여기에 살생부 논란, 옥새 파동이 이어지면서 직격탄을 맞았다”고 주장했다. 원유철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으로 추대된 데 대해선 “아무런 실권이 없는 자리이기 때문에 별로 문제될 건 없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