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참패 수습 의지는 유승민 의원 복당 여부로 판가름될 것이다.”
4·13총선에서 참혹한 성적표를 받아든 새누리당 수도권·비박(비박근혜)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친박(친박근혜) 패권주의’를 경계하는 목소리들이 터져나오고 있다. 특히 이들은 친박계가 유 의원 복당을 막고 나설 경우 ‘제2의 공천 파동’ 같은 역풍이 불 수 있다며 비상대책위원회의 결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유 의원의 최측근인 이종훈 의원은 1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탈당 선언과 선거운동, 또 당선 후에도 유 의원은 ‘즉각 복당해 새누리당을 개혁시키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었다”며 “복당계는 조만간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유 의원은 자기 할 도리를 다하면서 갈 길을 가겠다는 입장”이라며 “유 의원 복당을 받을지 말지에 대한 판단은 비대위에 달려 있다”고 했다.
이처럼 유 의원은 예정대로 복당 절차를 밟을 것으로 알려졌지만 새누리당 내 수도권 의원들은 친박계 내부에 유승민만큼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기류가 여전히 강한 점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 14일 마지막 최고위원회의에서 갑론을박 끝에 무소속 당선인들 복당 방침을 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비박계의 구심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 때문에 전당대회를 앞둔 친박계가 유 의원 복당을 막고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들 사이에선 친박계 위주로 재편된 20대 국회 당내 역학구도로는 정권 재창출이 어렵다는 비판적 시각도 늘고 있다.
새누리당의 수도권 한 의원은 “의석수가 줄어도 생각이 다른 인사는 배제해야 한다는 오만한 원칙을 적용한 공천이 결과적으로 단독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식물여당’을 탄생시켰다”고 지적했다. 그는 “친박 핵심 실세들이 주도한 이번 공천은 만년 2등을 해도 당권만 쥐면 된다는 생각이 반영된 것 아니냐”고 반문한 뒤 “야권 분열을 가져온 이른바 ‘친노 패권주의’와 다를 바 없다”고 했다.
또 다른 수도권 의원도 “이번 총선에서 지역구에 당선된 의원 중 70명 정도가 친박 성향이고 비례대표까지 합치면 80명이 넘는다”며 “이들이 똘똘 뭉쳐봐야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인데 친박계는 비대위부터 장악할 기세”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이 같은 상황에서 치러지는 조기 전당대회라면 당대표가 누가 되든 ‘친박당’ 이미지를 벗기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새누리당 내 다양한 의견이 분출되고, 치열한 노선 투쟁을 통해 혁신의 방향을 잡을 때만이 등을 돌린 지지층이 돌아올 수 있다고 말한다. 특히 결집을 예상했던 ‘5060세대’가 반란표로 돌아온 결과를 제대로 분석하고 반성하지 않으면 새누리당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당위론 vs 비토론… ‘유승민 복당’ 신경전
입력 2016-04-18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