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가 침몰한 지 2년이 지났지만 참사를 추모하는 우리 마음은 착잡하다. 우리 사회의 시계는 참사가 분명해진 이후의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멀리 벗어나지 못한 것 같기 때문이다. 한쪽에서는 진상규명 요구가 엄존하지만, 사회 전체적으로 세월호를 기억하자는 목소리는 희미해지고 있다. 사고의 진상을 밝히고, ‘적폐’에 기대 사리사욕을 채웠던 책임자를 처벌하는 것이, 공동체의 이름으로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사죄하고 위로하는 게 이토록 어려운 것임을 깨닫는 것은 고통스럽다.
4·16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선체를 끌어내기도 전에 해체될 위기에 처해 있다. 정부는 세월호 특별법이 시행된 2015년 1월 1일 특조위 활동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올해 6월까지만 활동할 수 있다고 해석해 예산을 그때까지만 책정했다. 그러나 남은 의문점 가운데 핵심인 침몰원인 등은 선체가 인양되는 7월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파헤칠 수 있다. 이제 곧 여소야대 국회가 출범하는 만큼 특조위의 활동기간 연장 방안을 논의해야 할 것이다.
침몰 원인과는 별개로 구조 실패와 해운사와의 유착 의혹, 관리감독 미비 등 정부의 책임이 크다. 그렇지만 특조위는 정부, 특히 해양수산부의 방해와 새누리당의 비협조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여당은 최소한 특조위의 해경 고위직들에 대한 특검 수사 요구에 대해 전향적으로 협의에 나서야 한다.
이제는 대립하는 두 진영의 간극을 메워야 한다. 세월호 참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세력이 이제는 유가족의 전면에서 물러날 때다. 추모사업은 물론 진상규명 작업에서도 우리 모두가 진영 의식에서 벗어나서 대한민국을 더 안전하게 만들고, 유가족의 상처를 치유한다는 우선적 목표를 공유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함께 나아가야 한다.
[사설] 아물지 않은 세월호 상처 진상규명은 계속돼야
입력 2016-04-15 17:39 수정 2016-04-16 1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