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에서 대약진한 국민의당이 20대 국회에서 야권 재편의 키를 잡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38석을 따내면서 ‘여소야대(與小野大) 3당 구도’를 만들어냈고, 호남 지역 의석(28석)의 80%(23석)를 석권해 야권 적통 경쟁에서도 우위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국민의당은 이런 ‘찬란한’ 성과를 바탕으로 국회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겠다는 포부다. 하지만 노선·계파 경쟁 등 ‘3당 체제’ 정치 실험을 성공시키기에 앞서 해결할 문제가 많다는 목소리도 높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14일 서울 마포당사에서 열린 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국민 여러분께서 국민의당이 국회에서 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녹색바람을 만들어주셨다”며 “정치를, 정권을, 국민의 삶을 바꾸는 정치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의당이 약진한 배경에는 기존 정치권에 대한 혐오감이 자리 잡고 있다. 안 대표는 공식 선거운동 기간 내내 “대한민국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유는 양당 기득권 정치 때문”이라며 “3당이 출현하면 양당이 안 싸우고 답을 내놓게 할 수 있다”고 공언했다. 이 호소는 호남의 압도적 지지와 함께 전국적으로도 정당 투표율 2위(26.74%)의 호성적으로 돌아왔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구태’에 질린 유권자들이 국민의당의 호소에 화답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기존 정치권과 비슷한 모습을 보일 경우 기대감이 빠르게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이미 지난달 초 야권 통합을 두고 야권의 ‘고질병’인 당내 분란이 재연되자 당 지지도가 폭락한 경험도 한 차례 겪었다.
따라서 지지세를 이어가려면 당초 공언대로 주요 현안마다 양당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고도의 정치력을 발현해야 한다. 일단 안 대표는 이날 양당을 상대로 ‘4·13 공약 평가이행 추진특별위원회’와 ‘미래일자리 특별위원회’ 등 국회 특위 구성을 제안했다. 이를 성사시키는 게 국민의당의 1차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당내 계파·노선 다툼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정동영 당선인 등 진보 성향 인사와 이상돈 공동선대위원장 등 보수 인사가 사안마다 이견을 보일 경우 당론을 정하는 것조차 쉽지 않을 수 있다. 안철수·천정배계, 수도권·호남파의 공존도 두 달여 뒤 치러질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갈등 구조로 비화될 개연성이 적지 않다.
대선이 머지않은 만큼 정권 교체가 가능한 ‘전국 정당’의 면모도 단기간에 피력해야 한다. 이를 이루지 못할 경우 ‘호남 자민련’이라는 냉소를 불식시키기 어려운 탓이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대선을 앞두고 호남 정서를 존중하면서 전국 세력이 될 가능성을 보여줘야 한다. 그 결과에 따라 호남 지지의 지속성이 결정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몸통 흔드는 꼬리 ‘캐스팅보트’의 정치력 관건… 국민의당 대약진 전망·한계
입력 2016-04-15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