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영동대·세명대 등이 다른 지역으로 캠퍼스 이전을 추진하자 지자체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1일 영동군에 따르면 영동대는 최근 군과의 협의에서 캠퍼스를 이전하지 않는 대신 올해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연간 30억원씩 90억원을 지원해 달라고 요구했다.
영동대는 교육부가 추진하는 ‘사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 사업에 신청했다. 프라임 사업은 학과를 개편하고 정원을 조정하는 대학에 연간 최대 300억원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오는 14일쯤 프라임 사업 선정 대학을 발표할 계획이다.
군은 영동대가 프라임 사업에 선정될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알려지자 차선책으로 지자체에 도움의 손길을 내민 것으로 보고 있다.
군은 그동안 이 대학에 국민체육센터 36억원, 노인전문병원 건립 36억원, 기업지원센터 13억원 등 143억3300만원을 지원했다. 또 앞으로 통학버스 운영비 등 연간 10억원 정도를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영동대는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2014년부터 2년 연속으로 하위등급(D등급)을 받아 구조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영동대는 지난달 충남 아산에 제2캠퍼스를 연데 이어 내년부터는 변경된 교명 ‘U1(유원)대학교’를 사용할 계획이다. 영동대는 전체 34개 학과 중 6개 학과 672명을 영동에서 아산으로 옮겼다.
지역에서는 영동대가 옮겨갈 수순을 밟고 있다며 범군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해 교명 변경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재정자립도가 열악한 상황에서 영동대가 요구한 예산 지원은 말도 안 된다”며 “대학 이름에서 영동을 지우면 지역과의 유대가 약화된다”고 지적했다.
제천 세명대도 경기도 하남 미군기지 반환공여지에 제2캠퍼스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세명대는 한방병원과 연구시설 등을 갖춘 9만9000㎡ 규모의 캠퍼스를 오는 2020년 3월 개교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제천시는 세명대의 수도권 이전을 막기 위해 헌법소원 청구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헌법소원은 최근 심사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기각됐지만 시의 강경한 반대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한국교통대는 지난해 12월 기존 52개 학과를 23개 모집단위로 줄이는 학사 구조 개편안을 확정하면서 학내 갈등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증평지역 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교통대 증평캠퍼스 정상화를 위한 범주민비상대책위가 충북대와의 통합을 요구했다. 현재 교통대 총학생회는 충북대와의 부분 통합 논의를 중단하고 대학의 학사 개편안에 증평캠퍼스 발전과 학습권 보장 방안을 반영해 달라는 의견을 전달한 상태다.
영동=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대학 캠퍼스 이전 추진에 충북 지자체들 속탄다
입력 2016-04-11 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