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탈북 추가 발생 가능성 충분”… 北 해외식당, 제재로 경영난

입력 2016-04-10 21:21
북한 해외 식당 근로자 13명의 집단 탈북에 대해 정부가 “이 같은 사례가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10일 언론 브리핑에서 추가 탈북 가능성에 대해 “해당 식당의 경우 국내 입국 인원이 상당수지만 전부는 아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북한 역시 우리 발표 전후로 사태를 인지하고 있었을 것으로 본다”면서 “내부 단속이나 검열, 소환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돼 상황을 예단할 수 없으므로 (식당 위치나 입국 경로, 남은 인원 등을) 밝히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들 13명 중 남성 지배인 1명과 여종업원 1명은 30대지만 나머지는 22∼25세의 젊은 여성들로 알려졌다.

이들이 일했던 식당이 중국 저장성 닝보(寧波)에 위치한 류경식당이라는 추정에 대해선 “이들의 신변 문제나 주변국의 입장, 추가 상황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류경식당은 종업원들이 도망가 지난 5일쯤 영업을 중단했다는 증언이 나오는 상태다.

또 다른 당국자는 “대규모 탈북 시 발각 위험성 등을 고려할 때 이들이 귀순을 결심하고 국내에 입국하는 과정은 굉장히 짧은 기간(2∼3일) 내에 이뤄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5일 식당을 떠나 제3국을 경유, 이틀 만에 입국했다면 감시를 피해 장기간 조심스레 진행되는 일반적인 탈북 루트와 달리 굉장히 신속한 귀순이 이뤄진 셈이다. 정부의 조력 가능성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자력으로 이뤄진 것에 가깝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고 답했다.

북한의 해외 식당 대부분은 극심한 상납 압박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은 해외 식당 130여개를 운영해 연평균 1000만 달러(약 135억원) 정도를 상납받고 있다”며 “현재 절반 이상의 식당이 상납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로 매출 하락 등 경영난에 빠진 상태에서 상납 압박까지 이어지자 일부에선 건강식품 판매나 퇴폐영업 등 불법까지 저지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