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시생에게 서울청사가 뚫리고 나서야 뒤늦게 정부청사끼리 보안시스템 교차점검을 실시했다. 전형적인 뒷북 점검이다.
행정자치부 정부청사관리소는 7∼8일 이틀간 전국에 있는 10개 정부청사에 대한 긴급 보안시스템 점검을 실시했다고 8일 밝혔다. 교차 보안점검이란 한 정부청사가 자체 점검에서 발견하지 못한 보안 허점을 찾기 위해 다른 청사 소속 직원으로부터 점검을 받는 것을 말한다. 이번 점검은 정부청사관리소 시설관리기획관을 단장으로 10개반에 점검인원 50여명이 투입됐다.
전 청사를 대상으로 긴급 보안강화 조치 이행 여부, 정부청사 정문, 울타리, 지하주차장, 스피드게이트, CCTV 등 출입동선 체계상 허점으로 들어난 곳에 대한 구조적 문제점과 근원적 보안 강화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정밀 점검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 때문인지 7일 첨단 보안시스템을 갖췄다는 정부세종청사 건물 스피드게이트 앞에서 평소에 안 하던 가방 검색이 이뤄졌다.
하지만 사전에 이미 파악하고 개선했어야 할 보안 취약 부분을 정부가 사건이 터지고 난 뒤에야 점검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정부청사 보안 교차 점검 ‘뒷북’
입력 2016-04-08 2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