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투표 거부층 비중 높아… ‘집토끼 단속’ 비상
입력 2016-04-07 04:00
지지층에서 번지는 ‘정치혐오증’ 관리 문제로 새누리당에 비상이 걸렸다.
수도권 주요 격전지에서 총선 때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투표층 비중이 야당에 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반면 투표장에 나서지 않겠다는 적극거부층은 야당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공천 파동으로 지지층 충성도가 약해진 반면 야당의 경제심판론이 먹혀들면서 젊은층의 선거참여 열기가 높아진 게 원인으로 분석됐다.
리얼미터가 지난 4일 발표한 전국 유권자 투표의향 조사에서 새누리당 지지자 중 투표 의사를 밝힌 응답은 87%로 더불어민주당 91.8%에 비해 4.8% 포인트 낮았다.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투표층은 새누리당이 57.3%에 그쳐 더민주(73.2%) 지지층보다 15.9% 포인트 약세를 기록했다.
국민일보가 지난 1∼5일 언론사별로 발표된 투표의향 조사를 취합한 결과 수도권 주요 격전지를 중심으로 이 같은 경향이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6일 분석됐다. 서울 용산의 경우 새누리당 지지자 중 투표층은 77.1%로 더민주 87.3%보다 10.2% 포인트나 낮았다. 마포갑 지역도 72.8%로 더민주 83.2%에 비해 11.6% 포인트 저조했다. 경기 이천, 수원무 지역에서도 지지자들의 투표 의향이 야당에 비해 각각 10% 포인트, 6.8% 포인트 뒤졌다. 격전지 여론조사에서 후보자 간 박빙 상황이 펼쳐지지만 적극투표층 조사 때는 지지율이 뒤집히거나 격차가 벌어지는 이유다.
더 큰 문제는 투표장에 전혀 나올 생각이 없다는 지지자 비중이다. 친유승민계 이종훈 의원이 컷오프된 경기 성남 분당갑 조사에서는 “전혀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자 25%가 새누리당 지지자로 나타났다. 용산 역시 적극거부층 중 새누리당 지지층이 19.8%에 달해 더민주 5.3%보다 4배 가까이 높았다.
당 내부에서는 핵심 지지층인 이른바 ‘집토끼’를 투표장으로 이끌어내지 못할 경우 자칫 비례대표 과반 확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지지자들이 지역구 후보는 여당 후보를 뽑고 정당 투표는 야당을 선택하는 교차투표 가능성까지 나온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6일 서울에서 공동선대위원장 긴급회의를 열고 서울 총력 유세에 돌입하기로 했다. 지역 시·도당을 중심으로 투표참여 독려 전화도 걸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번 총선에서 여권 핵심 지지층인 60대 이상 유권자가 전체(4210만 명)의 4분의 1에 육박하는 984만명에 달해 이미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지난달 발표한 ‘투표참여 의향 여론조사’에서 ‘반드시 투표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60대 이상이 가장 높았다. 19대 총선에서도 사전 조사에서는 젊은층의 투표참여 의지가 강하게 나타났지만 실제 투표율은 60세 이상이 가장 높았다. 국민의당 지지율 상승으로 뚜렷해진 야권분열 구도도 새누리당에 유리한 요인이다. 새누리당이 제기하고 있는 과반 붕괴론이 ‘엄살’이라는 뜻이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권 후반기에 치러지는 선거일수록 지지층 결집이 느슨해지는 경향이 있고 공천 파동을 겪으면서 당 지지율도 계속 떨어져 어려운 선거라고 할 만하다”면서도 “고령층에서의 새누리당 지지세가 여전히 확고해 과반이 붕괴될 정도는 아니다”고 전망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