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유일하게 남은 측우기인 금영측우기(보물 제561호·사진)가 100여년 만에 충남 공주로 돌아와 전시된다. 국립공주박물관은 개관 70주년을 맞아 특별전 ‘충청감영’에 1915년 일본으로 반출된 뒤 1971년 환수해 서울기상청이 소장하고 있는 금영측우기를 오는 14일까지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당초 공주 충청감영에 보관돼 있던 금영측우기는 조선 헌종 3년(1837)에 제작된 것으로 높이는 35㎝, 지름은 15㎝이다. 원통에 마디가 있고 중앙부에는 6줄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금영측우기가 있었던 충청감영은 충청도 54개 고을을 관할한 관청으로 임진왜란 이후 충북 충주(일부 기록 청주)에서 공주로 이전했다. 금강을 끼고 만들었다고 하여 금영(錦營)이라고도 불렸다.
공주=홍성헌 기자
국내 유일 ‘금영측우기’ 100여년 만에 고향으로
입력 2016-04-05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