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삼 수출을 2020년 3억 달러까지 확대키로 하는 등 실추된 인삼 종주국의 위상을 되찾기 위한 방안을 내놨다. 지난해 말 기준 1억5500만 달러 수준이었던 인삼 수출액을 5년 안에 배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최대 인삼 수출국인 중국 시장의 비관세 장벽이 여전히 높고 경기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목표를 달성하기는 만만치 않아 보인다.
5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해 인삼류 수출 누적액은 1억5500만 달러로 2014년 1억8400만 달러보다 2900만 달러 감소했다. 인삼류 수출액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1년 1억8900만 달러에 비하면 3400만 달러가량 위축됐다. 감소세는 올해도 이어지는 분위기다.
지난 1월 인삼류 수출액은 1년 전보다 5.6% 감소했고 2월에는 25.3% 감소해 감소폭이 커졌다. 인삼 최대 수출국인 중국 시장 위축이 가장 큰 이유로 꼽혔다. 실제 올해 1∼2월 인삼의 중국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7% 급감했다.
인삼류 수출 위축은 국내 농식품 수출 전반에 큰 타격이다. 정부가 이날 “인삼 종주국의 위상을 회복시키겠다”며 인삼 산업 종합발전대책을 발표한 것은 이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대책을 통해 인삼 생산액을 2020년까지 1조5000억원으로 늘리고, 수출은 3억 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지난해 처음 도입된 인삼 의무자조금을 제조, 가공, 유통, 수출업체까지 확대해 25억원 규모로 늘려 민간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것이 골자다. 인삼 생산부터 가공, 수출 마케팅까지 민간 중심으로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이런 전략이 최대 수출 시장인 중국에서의 부진을 만회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중국 정부의 부정부패 척결 분위기에 경기 부진까지 겹치면서 현지에서 고가 제품인 인삼 소비가 크게 줄어들었다. 높은 비관세 장벽을 해소하는 것도 쉽지 않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은 비단 세계경기 위축 때문만이 아니라 시진핑 국가주석의 사정 바람 등으로 고가 제품인 인삼류가 발목 잡힌 영향이 더 크기 때문에 (민간 노력으로) 해결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미 식품으로 지정된 5년근 미만에 대한 통관 어려움 등 비관세 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수출 국가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높다. 농식품부 관계자도 “비관세 장벽 문제가 크다는 점은 인지하고 있다. 통상외교 등을 통해 이 부분 해소를 계속 추진 중”이라면서 “이슬람권 할랄식품 시장과 유럽연합(EU) 등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인삼 수출, 5년내 2배로 늘린다는데…
입력 2016-04-05 19:16 수정 2016-04-05 2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