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부처와 전국 지자체에서 스마트 기기와 공공애플리캐이션을 활용한 대민 행정이 확산되고 있다. 일반화된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매개로 한 행정 서비스와 규제가 급증하는 추세다.
5일 행정자치부와 지자체에 따르면 인터넷과 사진기 기능이 장착된 스마트폰을 동원해 각 분야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단속업무의 성과를 높이는 광역·기초단체가 늘고 있다.
광주광역시 광산구는 최근 화물트럭 등의 밤샘 무단 주차를 막기 위한 ‘스마트폰 주차관리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공무원은 물론 주민이 무단으로 도로를 밤새 점령하는 영업용 차량의 주차위반을 촬영해 특정 서버에 전송하면 실시간 처리하는 방식이다.
트럭·버스 등 등록차고지 주차가 의무화된 영업용 차량의 밤샘 주차는 이면도로와 주택가 골목길의 교통안전에 큰 장애물이 돼 왔다. 광주시는 지난 1일부터 스마트폰 밴드앱을 통해 무질서 사범을 집중 단속 중이다. 5개 자치구별로 구성된 ‘클린 밴드’는 깨끗한 도심과 기초질서 확립을 위한 시민참여형 제보 창구다. 지난달 공개 모집을 통해 선발된 시민모니터 요원 337명과 공무원 69명 등 406명은 쓰레기 불법투기, 현수막 등 불법광고물, 노점상·노상적치물, 주·정차 위반 현황을 사진으로 찍고 주소 등 관련 정보를 밴드에 제보한다. 이후 관할 자치구 담당 공무원이 해당 현장에서 무질서를 바로잡고 그 결과를 밴드에 다시 올리고 있다.
각 지자체는 이와 더불어 교통·부동산, 단수·단전 등 다양한 생활정보와 지역내 맛집·명소 등을 스마트폰 앱으로 제공해 호응을 얻고 있다. 재난안전 등의 시민불편 신고는 물론이다.
각 중앙부처는 이에 뒤질세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응용해 업무처리 과정의 물리적 경계를 허물고 있다. 행자부는 올 들어 중앙부처 공무원들이 보고서·통계 등의 작성 자료를 개인용 컴퓨터 대신 전산센터 서버에 보관하도록 했다. 장소와 시간에 제약 없이 누구나 다운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행자부는 스마트폰·태블릿을 통해 필요한 자료를 언제든지 열람하도록 ‘모바일 뷰어’의 기기 제공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결재와 대면보고 등 형식에 치우쳐온 공무원 조직이 IT를 기반으로 효율적·생산적 업무시스템을 도입한 것이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지자체 등 공공기관이 새로운 행정 서비스를 위해 그동안 개발한 앱이 2014년 말 기준 ‘모바일 정부포털’의 등록 기준 1222개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
주차관리·쓰레기 단속·단수 안내… ‘스마트폰 행정’ 삶을 바꾼다
입력 2016-04-05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