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색 없는 야시장 ‘우후죽순’… 부작용 속출

입력 2016-04-04 21:23
울산에서는 처음으로 문을 연 남구 수암상가시장 야시장이 개장일인 지난 1일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울산시 제공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일자리 창출, 관광 활성화를 위해 ‘야시장’ 조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비슷한 운영 방식, 같은 지역 중복 개장, 기존 상권과의 경쟁 등 야시장 확산에 따른 부작용도 속속 나타나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해 10월부터 도깨비야시장을 열고 있는 가운데 울산 남구도 지난 1일 지역 첫 번째 야시장인 수암상가시장 야시장(매월 마지막 주 금·토 운영)의 문을 열었다. 오후 7∼11시 문을 여는 야시장에는 이곳 대표음식인 한우구이 말고도 다양한 먹거리, 수공예품, 캐리커처 등을 판매하는 부스 50여곳이 들어섰다. 기존 상인은 물론 지역 다문화가족, 외부상인 등이 참여했다.

경북 경주 중앙야시장도 이달 중순 개장하며 대구 서문시장과 교동시장 야시장(5월), 광주 남광주야시장(6월), 충남 부여 백제문화야시장(7월), 울산 중앙전통시장 야시장(10월) 등이 차례로 문을 열 예정이다. 대전 중리시장도 야시장을 추진 중이다.

이미 영업 중인 야시장과 올해 개장할 야시장을 모두 합치면 현재 전국에 있는 야시장은 20여곳에 이른다. 사업주체도 행정자치부, 중소기업청, 지자체 등 다양하다.

야시장은 행자부가 2013년 일자리 창출, 관광 활성화를 위한 ‘야시장 활성화 사업’을 벌이며 시작됐다. 행자부는 2013∼2015년 부평 깡통야시장, 전주 남부야시장, 목포 남진야시장을 개장했고, 이후 지자체들도 야시장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야시장 확산 분위기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행자부는 부평 깡통야시장 등 1세대 야시장 운영으로 기존 시장의 매출이 20% 이상 올랐다며 올해 야시장 대상지를 5곳 더 선정할 예정이다. 글로벌 명품시장 육성 사업(야시장 포함)을 진행 중인 중기청도 사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지자체들도 각종 국비 공모, 자체 예산 확보 등에 나서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야시장이 늘어나면서 대구, 울산 같이 한 지역에 비슷한 성격의 야시장 2곳이 들어서는 곳도 생기는 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또 목포 남진야시장에서는 야시장에 고객이 유입되면서 인근 기존 도심상권 매출이 20% 가까이 떨어지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비슷한 운영방식도 문제다. 대부분의 야시장이 먹거리 위주로 운영되기 때문에 특별한 먹거리를 만들거나 이색적인 상품을 팔지 않을 경우 오래 지속되기 힘들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조광현 사무처장은 “시도는 좋지만 먹거리 위주의 특색 없는 야시장은 경제 활성화와 관광객 유인에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다른 야시장과 차별될 수 있도록 지자체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대구·울산=최일영 조원일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