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을 많은 기업에 자금을 골고루 배분하던 방식에서 성과창출 방식으로 바꾸기로 했다.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31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중소·중견기업 R&D 정책 개편 방안’을 발표하고 “정부는 앞으로 신사업 개척이나 수출 확대 등 성과를 창출하는 기업군에 중점적으로 투자하는 형태로 지원 방침을 바꿀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중소기업이 R&D 과제에 응모하면서 기술 개발 분야와 목표 등을 정하면 골고루 지원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했는데 앞으로는 현장 수요를 중시하면서 성과를 낼 가능성이 높은 분야의 R&D 지원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정보통신기술(ICT) 융합·바이오헬스 등 국가 5대 신산업 분야 중 중소·중견기업에 적합한 분야의 R&D를 확대하는 데 올해 1200억원을 투입한다. 자동차·반도체·철강 등 주력산업의 중소·중견기업 시장을 확대하는 데에도 2800억원을 쏟아붓기로 했다.
중기청은 또 전문가 주도로 진행됐던 R&D 사업을 민간으로 넘기겠다는 계획이다. 기업 출신의 민간 평가위원을 영입한 ‘중소·중견기업 R&D 전략 연구단’을 10명 내외로 구성할 계획이다. 기업의 관점으로 시장 수요를 파악하고 R&D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기업 R&D를 평가하는 평가위원들의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반영해 평가의 투명성도 높일 예정이다. 주 청장은 “평가결과에 기업이 수긍하지 못할 경우 평가과정을 해당 기업에 공개하고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중소·중견기업 R&D 지원 성과창출 방식으로 바뀐다
입력 2016-03-31 2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