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화 없는 ‘드론’ 경쟁… 중복투자 불보듯

입력 2016-03-30 22:01
드론에 대한 지자체의 중복 투자 우려로 기술개발이나 투자를 지역별로 차별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경기도 평택경찰서가 지난 11일 30대 계모가 의붓아들을 학대하고 길에 버린 신원영군을 찾기 위해 드론으로 수색하는 모습. 뉴시스

하늘 위의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드론(Drone·무인비행장치)’의 산업화에 중복투자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각 지자체가 3D프린터와 함께 21세기 양대 미래산업으로 꼽히는 드론의 활용과 기술개발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으나 차별화가 부족하다.

30일 전국 각 지자체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최근 드론 신산업 상용화를 위해 부산, 대구 등 광역단체 2곳과 전북 전주, 전남 고흥, 강원 영월 등 기초단체 3곳을 시범사업자로 선정했다. 또 국립산림과학원 등 15곳의 기관·업체도 광역·기초단체와 협력해 시범사업에 참여하도록 했다. 이후 지난달 23일 국립산림과학원이 산림 울창한 영월지역 상공에 처음 드론을 띄워 산불진화와 조난 등산객 구조의 활용도를 구체적으로 검증했다.

산불이 발생할 경우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지켜보면서 불길을 잡고 잔불 장소를 정밀하게 파악해 불씨가 다시 살아나는 것을 막는다는 것이다. 절벽·숲에서 연락이 끊긴 등산객은 드론으로 신속히 찾는 등 인명구조를 위한 수색작업의 성과를 높이기도 했다. 영월군은 이를 위해 드론 지상통제 센터와 정비·보관 시설 등 인프라 구축에 1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부산시와 대구시 역시 ‘드론 실용화 지원센터’와 ‘스마트 드론 기술센터’ 설립에 각각 380억원과 250억원을 투입해 드론산업 육성에 가세할 계획이다. 전주시와 고흥군은 교육훈련센터와 조종사 자격면허시험장, 드론 전용비행장 등을 각각 개설하기로 했다.

이들 지자체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국내 IT기술을 기반으로 드론의 산업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부산, 대구 등 지자체 5곳과 기관·업체들이 추진 중인 드론산업 육성대책은 ‘생활밀착형 드론 개발’ 등으로 목표가 막연해 장밋빛 청사진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 육성전략도 지상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원·기술센터 건립 등 매우 흡사해 중복투자가 불 보듯 뻔하다는 여론이다.

이에 따라 부가가치가 높은 드론산업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산림·농경지·해안 등 지역별 특징에 맞는 기술개발을 서두르고 물류·재난구조·민생순찰 등 분야별로 특화된 육성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한국ICT융합협동조합 김창식 이사장은 “국내 드론산업은 매출기준 현재 세계 30위권에 머물고 있다”며 “실생활과 동일한 테스트 공간을 갖추는 등 실질적 투자와 지역별로 기술개발이나 투자를 차별화해야 수익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