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때 1.5% 불과했던 기독인, 주도세력 30% 차지”

입력 2016-03-30 18:21
경기도 부천 서울신대 우석기념관에서 30일 열린 ‘제20회 영익기념강좌’에서 박명수 서울신대 교수(왼쪽 세 번째)가 발표하고 있다. 부천=강민석 선임기자

“일제의 폭압적인 무단통치가 극성을 부리던 1919년, 기독교인들은 정의·자유·평화를 기반으로 한 하나님나라 건설이라는 신앙적 목적과 자주·평등·해방을 추구하는 민족적 양심에 따라 3·1운동을 주도했다. 민족대표 33인 중 16인이 기독교인인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당시 기독교인들은 전체 인구의 1.3∼1.5%에 불과했지만 3·1운동 주동세력의 약 30%를 차지했다.”(이은선 안양대 교수)

서울신대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는 30일 경기도 부천 소사구 캠퍼스 내 우석기념관에서 ‘제20회 영익기념강좌’를 열고 3·1운동의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3·1운동과 임시정부의 관계’에 대해 발표한 이은선 안양대 교수는 “3·1운동은 일제의 무단통치와 경제수탈 속에서 독립의 기회를 찾던 우리 민족이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영향을 받아 거족적으로 일으킨 자주독립운동”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3·1운동에서 나타난 ‘비폭력 평화 정신’에 대해 “3·1운동을 전후해 등장한 기독교계의 선언서를 분석해 보면 비폭력·무저항·평화운동 노선의 확립에 기독교가 영향을 미쳤음을 짐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3·1운동에 자극 받은 세계의 피압박 국가들은 그들 자신의 해방·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중국에서는 같은 해 북경대학생들을 중심으로 5·4운동이 일어났으며 이 운동을 주도한 청년들은 한국을 본받자는 구호를 외쳤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에서는 마하트마 간디를 중심으로 비폭력·무저항의 ‘샤타 그라하’ 운동이 일어났다.

이 교수는 “3·1운동에 전 국민이 동참하면서 독립정신이 고양되고 민족 역량이 강화했다”며 “반제국주의 정신이 확산돼 봉건적 질서가 해체됐으며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기치를 내세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남북 대치, 중국의 부상과 그에 따른 미·일의 안보협력강화로 한국을 둘러싼 국제정세가 어지러운 가운데 동북아평화체제 구축을 위해선 3·1운동의 평화정신을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1946년 3·1절: 해방 후 첫 번째 역사 전쟁’에 대해 발표한 박명수 서울신대 교수는 “1946년 서울운동장에서 열린 우파의 3·1절 기념 시민대회에는 10만∼20만 명의 시민이 참가한 반면 탑골공원에서 열린 민전 주최 3·1절 기념행사에는 좌파 정치 지도자 여운영과 박헌영이 불참했고, 남산공원에서 개최된 좌파의 시민대회에는 약 1만5000명만 참석했다”고 말했다. 이어 “일제치하의 공산주의 운동에 정통성을 둔 좌파는 1946년 삼일절 역사전쟁에서 패배한 후 3·1운동 계승을 주장하지 않게 됐다”고 주장했다.

부천=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