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장사정포 잡는 ‘전술지대지 유도무기’ 개발 본격화

입력 2016-03-30 21:32

지하 갱도에 숨겨져 있는 북한 장사정포를 파괴하기 위한 ‘전술 지대지 유도무기’가 이르면 2019년 실전 배치된다. 새로운 핵폭탄 투발 수단인 북한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을 탐지할 수 있는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도 2020년까지 도입된다.

국방부는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군사력 건설·운용 청사진인 ‘2017∼2021 국방 중기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북핵·미사일 대응 전력체계 구축에 최우선순위가 주어졌다. 위성항법시스템(GPS)이 장착되는 전술 지대지 유도무기(사거리 120㎞)는 지하 수m까지 관통할 수 있어 신형 방사포 등 북한의 장사정포를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북핵·미사일 사용 징후 포착 시 선제공격이 가능한 ‘킬 체인(Kill Chain)’ 구축에는 5조4000억원이 투입된다. 북한 전 지역에 대한 탐지 및 식별을 위한 고고도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가 도입되고 북한 변전소와 전력망, 전자장비를 무력화하기 위한 탄소섬유탄(일명 ‘정전 폭탄’)도 2020년 초 전력화될 예정이다.

북한 전 지역에서 발사되는 탄도탄과 SLBM 탐지를 위한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체계 구축에도 2조5000억원이 배정된다. 장병 복무 여건 개선을 위해 병사 봉급은 상병 기준 2017년 19만5800원, 2021년 22만6100원으로 상향 조정할 예정이다. 기본급식비 단가도 올해 7334원에서 2021년 8339원으로 인상된다.

이번 중기계획에 투입되는 재원은 226조5000억원으로 앞선 ‘2016∼2020년 국방 중기계획’에 비해 6조원 감소했다. 강병주 전력자원관리실장은 “북한의 위협에 대비한 대응전력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뒀고, 선진병영 여건 마련에도 심혈을 기울였다”며 “적기에 전력화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