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당을 향해 막판 야권 후보 단일화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당이 29일 ‘당과 사전 협의한 후보 간 단일화는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국민의당 일부 의원도 더민주와의 후보 단일화 협상에 들어가면서 막판 단일화 움직임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는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지역구별 (후보 간) 단일화는 막기 힘들다”며 사실상 허용 방침을 내놨다. 이태규 국민의당 전략홍보본부장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후보 간 단일화에 대한 당의 입장은 당과 사전 협의해 추진하는 것은 막지 않겠지만 권하지는 않겠다는 것”이라면서도 “당대표가 단일화를 하지 않겠다고 공개 선언한 것은 당 전체에 주는 시그널”이라고 말했다. ‘선(先)사전협의, 후(後)후보 간 단일화’는 가능하지만 안 대표의 독자 행보를 통해 ‘연대 불가’가 기본 당론임을 강조한 것이다.
우선 경남 창원성산의 더불어민주당-정의당 야권 단일 후보로 정의당 노회찬 전 의원이 확정됐다.
후보 단일화에 부정적인 지도부와 달리 국민의당 일부 의원도 후보 단일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서울 중·성동을에서는 국민의당 정호준 의원의 단일화 제안에 더민주 이지수 후보는 “적극 환영한다”고 화답했다.
경기 안산단원을에 출마한 국민의당 부좌현 의원도 더민주 손창완 후보에게 단일화 논의를 촉구하고 있다. 강원 춘천에서는 더민주 허영 후보와 국민의당 이용범 후보가 허 후보로의 단일화에 합의했고, 당과의 사전 협의가 없었다는 이유로 논의가 중단됐던 서울 강서병에서도 더민주 한정애 의원과 국민의당 김성호 후보 간 단일화 작업도 재개될 전망이다.
더민주가 전방위적으로 후보 단일화 압박에 나서고 있어 ‘박빙 지역구’의 경우 연대 논의가 탄력받을 수 있다. 더민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나는 처음부터 지역구별로 우열이 가려진 후 출마자끼리 연대해야 한다고 얘기했다”며 “선거가 다가올수록 후보자 간 연대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문재인 전 대표도 페이스북에 “야권 연대를 무조건 해야 한다. 내일도 성과가 없다면 야권 전체는 역사의 죄인이 될 수 있다”고 압박했다. 이재경 선대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시간이 없다. 지금이라도 후보들의 자발적인 단일화 노력을 막지 말 것을 강하게 호소한다”고 밝혔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관련기사 보기]
‘野 단일화’ 신호탄?… 판이 흔들린다
입력 2016-03-29 2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