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가 야권연대에 다시 한번 선을 그었다. 안 대표는 29일 관훈클럽 초청 토론에서 “당대당 연대는 분명 없다고 말씀 드렸고 여러 논란들이 있었지만 지금까지 계속 지켜왔다”고 연대 불가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지역구별 후보 단일화에 대해서는 여지를 남겨뒀다. 후보 차원의 연대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야권분열의 책임을 분산시키려는 의도로 읽힌다.
안 대표로선 이럴 수밖에 없을 듯하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당 후보들이 호남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 못한 상황에서 야권연대는 곧 더불어민주당 후보로의 단일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러면 새누리당·더민주의 양당 기득권 타파를 기치로 내건 국민의당 존재감은 사라진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국민의당이 이번 총선에서 원내교섭단체 구성이라는 1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야권연대가 불가피하다. 우선 안 대표가 출마한 서울 노원병만 해도 안 대표는 이준석 새누리당 후보와 오차범위 내에서 경합 중이다. 야권연대가 이뤄지지 않으면 안 대표 당선마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전국적으로 이런 일여다야 선거구가 178곳에 이르고 이 가운데 105곳이 수도권에 몰려 있다. 야권연대는 국민의당이 한 석이라도 더 얻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란 얘기다.
안 대표 말과 달리 모든 비호남 지역에서 더민주·국민의당 후보 간에 단일화 논의가 활발하다. 강원 춘천을 비롯한 몇몇 지역에선 단일화를 이뤄냈다. 현장에선 야권 후보 난립은 공멸이라는 걸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는 얘기다. 여론조사 결과도 이를 증명한다. 이럴 바엔 당 차원의 후보 단일화 논의가 옳다.
안 대표는 40석을 20대 총선 목표 의석수로 제시했다. 이에 미달할 경우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그러나 지금으로선 불가능에 가까운 목표다. 새 정치를 하겠다면서 구태정치를 답습하고, 친노패권 청산을 외치면서 안철수 패권을 만든 국민의당의 자업자득이다. 게다가 새 인물도, 새 정책도 보이지 않는다. 국민의당 지지율이 반짝 올랐다고 착각하면 안 된다. 새누리당과 더민주의 공천 내홍에 따른 반사이익은 오래 가지 않는다. 국민의당은 이번 총선의 ‘주적’이 누구인지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사설] 안철수의 연대불가론 끝까지 유지될 수 있을까
입력 2016-03-29 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