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 지자체에서 도심 속 변전소와 송전선로 등 송배전 시설 설치를 둘러싼 갈등이 잇따르고 있다. 한국전력은 안정적 전력공급을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지역주민들은 전자파 피해 등을 우려해 거세게 반발하는 형국이다.
29일 전남 나주 한전본사와 해당 지자체에 따르면 2005년 12월 시작된 밀양 송전탑(765㎸) 반대투쟁 이후 전국 각지에서 고압 송전탑 건설에 대한 분쟁과 마찰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전은 현재 가동 중인 인천 영종변전소에서 6.5㎞ 거리에 중산변전소를 새로 건설하는 공사를 진행 중이다. 운남동 일대 중산변전소는 내년 4월 완공되면 영종변전소에서 공항신도시를 지하로 지나는 고압전력을 넘겨받아 전압을 낮춘 뒤 영종하늘도시 입주민 등에게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주민들은 “영종도에 남아도는 땅도 많은 데 왜 하필 학교와 아파트 단지가 가까운 곳에 설명회나 찬반투표도 거치지 않고 변전소를 세우느냐”며 공사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전주 도심 옛 송천역 부지 4716㎡에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로 들어설 송천변전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지난 1월 착공, 내년 4월 완공 예정이지만 지역주민과 지방의원, 환경단체 회원 등이 대책위원회를 꾸려 서울대 보건대학원에 유해성 여부를 검증하는 정밀조사를 의뢰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반면 한전 측은 전주 동북부권 전력공급을 위해 변전소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원활한 송배전을 위한 송전선로 설치도 잦은 반대여론에 부딪히고 있다.
인천발전단지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 서부지역에 공급할 목적으로 2014년 6월 착공한 지중 송전선로 설치공사가 대표적이다. 총 23.4㎞구간에 5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이 공사는 경기 부천 원미구 구간의 경우 전체 4개 구간 중 3개 구간에서 첫 삽도 뜨지 못하고 있다. 부천시가 상동신도시 아파트 입주민과 시민단체의 집단 민원에 밀려 점용허가를 내주지 않았거나 허가를 취소했기 때문이다. 한전 측은 소송을 제기해 1심에서 승소했으나 부천시가 불복해 항고한 상태로 현재 공사가 중단된 채 법정 다툼 중이다.
광주광역시 삼각동 국제고 앞 송전탑 역시 광주시와 ‘송전선로 지중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가 지중화 공사비의 분담비율을 놓고 지난해부터 해묵은 갈등을 빚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도시권역이 확장되면 전력수급을 위한 변전소 건설과 송전선로 추가 설치는 필수적”이라며 “암 발병 등을 걱정하지만 발생하는 전자파는 냉장고와 TV 등 전자제품 수준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
“전자파 NO”… 답 못찾는 송배전 시설 갈등
입력 2016-03-29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