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부터 6박8일 일정으로 이뤄지는 박근혜 대통령의 올해 첫 정상외교 일정은 ‘북한 비핵화를 위한 국제공조’ 및 ‘신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경제외교’로 요약된다. 박 대통령은 우선 제4차 핵안보정상회의에서 전통적 의제인 핵 안보 협력 외에 북한 핵문제가 국제사회의 커다란 위협이자 도발이라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북한 비핵화 위한 국제공조에 초점=박 대통령은 미국 워싱턴에서 31일부터 다음 달 1일 이틀간 진행되는 핵안보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들과 핵 테러 위협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다.
우선 본회의 세션 전날인 31일 각국 정상들의 업무만찬에서 박 대통령은 ‘북핵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단합된 노력’을 강조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지난 1월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강행한 데 이어 추가 핵실험 위협까지 주장하는 현 상황을 소개하고, 북한 도발을 막기 위해 국제사회가 일치된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점을 설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270호의 철저한 이행 등 대북 압박만이 현 단계에서 최선이라는 점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1일 본회의 세션 및 업무오찬, 시나리오 기반토의 세션 등에선 핵 테러 위협을 가정한 상황에서 각국 정상들과 함께 효과적인 국제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회의에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비롯한 52개국 정상 및 유엔, 국제원자력기구(IAEA) 대표들이 참석한다. 러시아는 참석하지 않는다.
주요국 정상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회의기간 다양한 별도 회담도 열릴 전망이다. 주목되는 것은 한·미·일 3국 정상회의다. 외신들에 따르면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아베 총리는 3국 정상회의 개최를 논의 중이다. 3국 정상회의가 열릴 경우 박 대통령은 효과적인 대북 압박 및 제재를 위한 빈틈없는 한·미·일 3각 안보 공조를 재확인할 예정이다. 한·일 정상회담이 개최된다면 박 대통령은 아베 총리에게 한·일 위안부 합의의 성실한 이행을 거듭 요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28일 “핵안보정상회의 기간 주요국 정상과의 별도 회담도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멕시코 인프라시장 진출, 신성장동력 확보=박 대통령은 엔리케 페냐 니에토 대통령과의 회담에선 우리 기업의 에너지·교통·인프라 건설 참여, 신산업 협력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삼성전자 등 대기업 13곳과 중소·중견기업 95곳 등 144개 업체(기관), 145명의 경제사절단이 함께한다. 한·멕시코 교류 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사절단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박 대통령, 군 장병에 “북한이 두려워할 것” 격려서신=박 대통령은 이날 국군장병에게 보낸 서신을 통해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여러분이 사명감과 책임감으로 철통같은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어 북한이 두려워하고 있을 것”이라고 격려했다. 또 “장병 여러분이 있는 한 한반도 통일시대는 현실로 다가오고, 그 미래의 주인공은 바로 여러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역사적 책무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빈틈없는 군사적 대비태세와 압도적 억지력을 갖춘 강한 군대가 필요하다”며 “나는 군통수권자로서 장병 여러분의 애국심을 굳게 믿고 있다. 무한한 신뢰를 보낸다”고 강조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北 비핵화 국제공조·신성장동력 찾기 ‘투트랙 외교’… 朴 대통령, 올 첫 정상외교
입력 2016-03-28 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