多與 32곳·多野 178곳이 승패 가른다… 승부처 수도권에 집중

입력 2016-03-29 04:02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20대 총선 공천자대회’에서 엄지손가락을 치켜들고 있다(왼쪽 사진).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경제 살리기 대전·충남 국회의원 후보자 연석회의’에 참석해 투표 독려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가운데 사진). 오른쪽 사진은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대표가 서울 노원구의 한 상가를 방문해 상인들과 인사를 나누는 모습. 이동희 기자, 뉴시스
보름 앞으로 다가온 20대 총선에서 정책 대결은 좀처럼 힘을 못 받고 있다. 대신 ‘다여(多與)·다야(多野)’ 구도가 판세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야권에서 당 대 당 통합은 이미 물 건너갔지만 지역별로 후보 간 연대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새누리당은 ‘비박(비박근혜) 공천학살’ 이후 전·현직 의원 등 30명 넘는 후보들이 탈당해 무소속행을 택했다. 이들은 접전지인 수도권에서 여권 성향 표를 상당 부분 잠식할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선관위의 ‘20대 총선 후보자 명부’에 따르면 전국 253개 선거구 가운데 야당 후보가 두 명 이상인 지역은 178곳이다. 이 중 105곳이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 몰려 있다. 수도권 전체 선거구가 122개인 점을 감안하면 10곳 중 8곳 이상이 다야 구도인 셈이다. 야3당(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이 전부 후보를 낸 곳도 전국에 43곳(수도권 24곳)이나 됐다. 더민주가 야권 연대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것도 이런 현실 때문이다.

그러나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는 선거대책위원회회의에서 “소선거구제에도 불구하고 국민의당이 총선에 참여한 순간 광야에서 죽기를 각오한 것”이라며 연대 불가 방침을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더민주 김종인 대표를 향해 “우리 당 후보는 누구에게 표를 보태주기 위해 출마한 분들이 아니니 더 이상 모욕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새누리당은 “현 지지율에서 10∼15%는 빼고 선거 전략을 짜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권성동 전략기획본부장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우리 당 후보들이 선전하고 있지만 과거 총선 결과나 지지율 추이를 보면 낙관할 수 없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서울 동대문갑 새누리당 후보인 허용범 전 당협위원장도 “제3당 후보들이 야당 표만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여당 내 중도층, 부동층 표심도 상당 부분 흡수하고 있다”고 했다.

선관위에 따르면 후보 사퇴는 선거 때까지 가능하다. 다만 후보 단일화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는 다음달 4일 전엔 사퇴해야 한다. 그래야 투표용지 후보자 이름 옆에 ‘사퇴’라고 표시되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자당 후보와 무소속으로 출마한 탈당파가 맞붙게 된 곳을 ‘다여’ 지역으로 보고 있다. 이런 지역이 전국에 32곳, 수도권에서만 서울 마포갑, 인천 중·동·강화·옹진, 경기 성남 분당을 등 8곳에 이른다. 안 그래도 야당 후보와 접전인데 여당 표가 분산돼 승패를 가늠하기 어렵게 됐다. 새누리당이 무소속 후보를 돕다 발각되면 제명하겠다고 밝힌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날 이재오 의원과 강승규 전 의원, 임태희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 5명은 수도권 무소속 연대에 뜻을 모았다. 여권 텃밭인 대구·경북(TK)에서도 탈당파가 12명에 달해 본선보다는 여당 내 집안싸움에 관심이 쏠리는 형국이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