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률 전국 1위 부산, 봉안시설 고민

입력 2016-03-28 20:27
부산의 화장률이 전국 최고를 기록하면서 봉안시설 부족에 따른 친환경 자연장이 바람직하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28일 보건복지부 조사 결과 부산시는 화장률이 91.6%로 전국 평균 화장률(79.2%)을 크게 웃돌고 있다. 이 같은 추세대로라면 2024년 영락공원과 추모공원 등 부산지역 공·사설 6개 봉안시설은 포화상태가 될 전망이다.

시에 따르면 부산지역 봉안시설은 공설인 부산영락공원 8만4191기와 부산추모공원 10만기, 4개 사설 봉안시설 5만4487기 등 모두 23만8678기에 불과하다. 현재 추세가 유지될 경우 8년 뒤인 2024년부터 봉안시설 부족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10년 뒤인 2026년에는 3만4245기의 봉안당이 부족하게 되고, 2031년에는 부족분이 10만기를 넘어갈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부산시의회 등은 도심 관광자원이 된 해외 추모공원 사례를 참고해 신규 봉안시설 확보 계획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시민·환경단체들은 “봉안시설 확충은 한계가 있다”며 “친환경적인 ‘자연장’을 확산시켜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자연장은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나무, 화초, 잔디 주변에 묻는 친환경 장례법이다. 나무 밑에 뼛가루를 묻으면 ‘수목장’, 잔디 밑에 묻으면 ‘잔디장’, 꽃 옆에 묻으면 ‘화초장’으로 불린다. 자연장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8년 법으로 자연장을 허용, 최근 수목장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시 관계자는 “시민 의견수렴을 거쳐 봉안시설 증설 등을 논의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자연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