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 對 심판… “野 경제 발목”-“與 경제 실정”
입력 2016-03-27 21:47
20대 총선을 17일 앞두고 여야는 모두 경제 문제를 최대 이슈로 한 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웠다. 새누리당은 경제 활성화 입법 등에 애를 먹이며 경제의 발목을 잡았다는 ‘야당 심판론’을 부각시켰다. 반대로 더불어민주당은 박근혜정부 경제 실정에 초점을 맞춘 ‘경제 심판론’으로 맞섰다. 과거 ‘정권 안정 대 심판’ 구도로 흘렀던 집권 후반기 선거와 달리 여야 모두 경제 문제 하나를 놓고 서로에게 책임을 돌리는 공세적 프레임으로 맞붙은 형국이다.
새누리당은 이번 총선의 목표를 과반의석 확보로 잡았다. 현재 재적 292명 중 146명으로 과반에 못 미치는 의석수를 ‘150+α’로 회복시키겠다는 의미다. 일자리 개혁, 청년 독립, 40·50대 재교육, 여성 보육 지원을 위한 마더센터, 갑·을 개혁 등 일자리 창출 및 경제 살리기에 방점을 찍은 5가지 분야 공약을 발표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27일 “이번 총선은 경제를 살리려는 ‘민생 우선세력’과 경제를 포기한 ‘민생 외면세력’ 간 대결”이라고 규정했다. 김무성 대표와 원 원내대표, 서청원 이인제 최고위원,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등 5명의 공동선대위원장 체제로 선거전에 나설 채비를 갖췄다.
더민주 총선 전략을 진두지휘하는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이명박·박근혜정부의 경제 정책을 ‘잃어버린 경제 8년’으로 규정하고 현 정부의 경제 실정을 파고들었다. 국정을 책임진 정부가 경제 위기의 책임을 야당에 돌려선 안 된다는 논리를 폈다. 김 대표는 “이번 총선은 국민을 제대로 보살피지 못한 ‘배신의 경제’를 심판하는 선거”라며 ‘서민경제 살리기’ 및 경제 민주화 공약을 띄웠다.
더민주는 탈당 사태 이전 의석수(128석)보다 많은 130석을 목표로 잡았다. 마지노선은 현재의 ‘107석 사수’다. ‘경제 민주화’를 상징하는 김 대표 1인 선대위원장 체제 아래 서민경제 정책 노선 등을 점검할 경제상황실을 최운열 서강대 전 부총장이 맡도록 했다.
중도층 표심을 노린 경제 이슈가 떠올랐지만 이번 총선의 최대 분수령은 야권 후보 단일화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전국 선거구 253곳 중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로 선거를 치르는 지역은 수도권 105곳 등 178곳이다. 178곳 중 더민주와 국민의당, 정의당 등 3개 야당이 모두 후보를 낸 선거구는 43곳이다.
야권의 ‘당 대 당’ 단일화는 사실상 물 건너간 모양새이지만 지역별 후보 연대가 여야의 승패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받고 있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안정적 국정 운영을 주로 호소했던 여당은 이번에 공격적인 야당 심판론을 들고 나왔고, 야당 역시 최근 경제지표를 구체적으로 대면서 정부의 경제 실정을 심판해 달라는 구도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로선 경제 이슈보다 야권 후보 단일화 여부가 판세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라고 했다.
‘유승민 공천’ 문제로 내홍을 겪은 새누리당과 분당 사태 및 비례대표 선정 과정에서 마찰을 빚었던 더민주가 각각 얼마나 지지층 결집도를 회복시키느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편 대안 정당으로 발돋움하려는 국민의당은 ‘양당 정치 기득권’의 폐해를 심판해 달라고 호소했다. 호남과 수도권 등에서 40석 이상을 얻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제20대 국회의원 후보자 및 선거에 대한 각종 정보를 국민일보 홈페이지(kmib.co.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