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회의원 총선거의 첫 사전투표제를 주목한다

입력 2016-03-27 17:31
4·13 총선에 전국 단위 국회의원 선거로는 처음으로 사전투표제가 실시된다. 지난 2013년 4·24 재·보궐 선거 때 도입된 사전투표는 별도의 부재자 신고를 하지 않아도 주소와 관계없이 신분증만 갖고 있으면 선거일 직전 금·토요일에 전국의 모든 읍·면·동사무소에서 투표할 수 있는 제도다. 2013년 10·30 재보선과 2014년 6·4 지방선거 등에서 적용된 바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번 총선에서 전국 읍·면·동에 3511곳의 사전투표소를 설치해 다음달 8, 9일 이틀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유권자는 신분증을 지참하고 사전투표소에 가서 전용 단말기로 통합 선거인명부에 따라 투표용지를 발급받아 투표를 하면 된다.

본 투표가 주소지에 의해 지정된 장소에서만 해야 하는 반면 사전투표는 가까운 투표소 아무데나 찾아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다.

여야가 사전투표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는 투표율 때문이다. 2013년 상·하반기 재보선 당시 각각 4.8%, 5.4%에 머물렀던 사전투표율은 이듬해 전국 단위 지방선거에서 11.5%로 뛰어올랐다. 지방선거 전체 투표율도 2010년 54.5%에서 56.8%로 상승했다. 예상보다 크게 늘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지만, 전체 투표율 증가에 기여했다는 평가가 많다.

선관위는 4·13 총선의 사전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인천공항·서울역·용산역 등 3곳에 투표소를 추가로 설치하고 1층 투표소, 승강기 이용 투표소를 확대하는 한편 투표 당일 장애인 전용 콜택시와 차량을 제공키로 했다. 오는 29∼30일 전국 252개 사전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을 상대로 모의 사전투표 체험 행사도 갖는다.

선관위의 적극적인 홍보와 각 당의 독려가 맞물릴 경우 사전투표율은 2년 전 지방선거 때보다 오를 가능성이 크다. 이는 내달 총선 투표율이 2008년(46.1%), 2012년(54.2%)에 비해 높을 거란 예측으로 이어진다. 특히 사전투표율은 여야가 승부처로 삼고 있는 서울·경기·인천에서 변수가 될 수 있다.

실제 지난 총선에서 5% 포인트 미만 득표율로 당락이 갈린 수도권 선거구가 31곳에 달했다. 1% 포인트 미만 8곳, 1% 포인트 이상 3% 포인트 미만 10곳, 3% 포인트 이상 5% 포인트 미만은 13곳이었다.

‘1여(與)-다야(野)’ 구도에서 사전투표율이 전체 판세에 결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여야 정치권이 여기에 눈독을 들이며 벌써부터 주판알을 튕기는 이유다.

사상 최악의 공천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20대 총선 투표일이 보름여 앞으로 다가왔다. 국민은 안중에도 없었던 정치권에 대해 사전투표부터 유권자의 힘을 보여줘야 한다. 더 이상 패거리 공천은 통하지 않는다는 걸 국민들이 나서서 입증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