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이른바 ‘옥새 파동’은 일단 ‘나눠먹기’ 식으로 임시 봉합됐지만 박근혜 대통령과 김 대표 관계는 앞으로 한층 소원해질 수밖에 없게 됐다. 특히 박 대통령에 의해 ‘배신의 정치’로 낙인찍혔던 유승민 의원이 오히려 유일한 범여권 후보로 20대 국회 생환이 기정사실화된 것은 박 대통령으로선 뼈아픈 대목이라는 게 일반적 평가다. 이는 박 대통령에게도 커다란 정치적 부담이다. 김 대표는 후보 공천 등록 거부가 당헌·당규에 의한 것일 뿐이라며 박 대통령과의 정면충돌 시각에 선을 그은 상태다. 그러나 앞으로 박 대통령과 김 대표는 총선 이후 엇갈린 길을 걸을 수밖에 없고, 특히 한번 갈등이 불거지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까지 확산될 수도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다만 집권 4년차 개혁과제 이행에 올인을 선언한 박 대통령으로서는 현재로선 정치권과 어느 정도 거리 두기를 하면서도 기본적인 협력관계는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박근혜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 성과 도출은 집권여당의 뒷받침 없이는 불가능하고, 이를 위한 협력은 불가피한 전략적 선택이라는 의미다.
또 최근 한반도 안보위기가 계속되는 상황도 감안할 수밖에 없다. 북한은 박 대통령과 청와대를 ‘1차 타격 대상’으로 거론하면서 연일 정밀 타격을 위협하고 있고, 추가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도발 가능성도 높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에서 소모적인 정치 갈등이 계속될 경우 정권이 가장 큰 위기에 봉착할 개연성이 크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앞으로 당분간 경제 활성화 행보와 안보 행보에 주력하면서 특정 정치 현안에 대해선 거리 두기를 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다만 박 대통령과 김 대표가 앞으로 진정한 ‘국정 파트너’로서의 관계를 이어가긴 더 이상 어렵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더욱이 총선이 마무리되고 권력 중심이 청와대에서 당으로 이동하면 다시 한번 박 대통령과 김 대표 간 갈등은 필연적으로 불거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청와대는 여전히 “공천 문제는 당의 일”이라는 게 공식 입장이라면서도 내부적으로는 끙끙 앓고 있다. 특히 김 대표의 이른바 ‘옥새 파동’에 대해선 “공당 대표가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정치적 거래를 보여줬다”는 분위기다 강하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27일 “여당이 내부 갈등 때문에 일부 지역을 무공천 지역으로 남겨둔 것은 여전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눈맞추기 힘들어진 국정파트너… 朴대통령, 金대표에 ‘부글’
입력 2016-03-27 21:55 수정 2016-03-27 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