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불패’… 고위직 74% 재산증가

입력 2016-03-25 20:50

지난해 고위 공직자의 70%가 재산을 불린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평균 재산도 전년보다 5500만원 오른 13억31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장·차관급 등 중앙부처 고위 공무원과 광역·기초단체장을 비롯한 지방자치단체 공직자 1813명의 2016년 정기 재산신고 현황을 관보에 공개했다. 재산이 전년에 비해 증가한 사람은 1352명(74.6%)이었고, 증가액이 1억원이 넘는 사람 비중도 절반에 육박하는 46.4%(492명)나 됐다.

대부분 부동산 가격 상승과 재산 상속의 덕을 봤다. 평균 재산 증가액 5500만원을 분석해보면 개별 공시지가 및 공동·단독주책 공시가격 상승, 종합주가지수 상승으로 인한 증가분이 2000만원이었다. 부동산 상속 및 급여 저축분은 3500만원으로 조사됐다. 고위공무원단의 전년 대비 재산 증가액 비율은 4.31%로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2.6%)을 상회하며 재테크 ‘불패 신화’를 이어갔다.

이와 함께 국회·대법원·헌법재판소·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직자윤리위원회도 각각 관할 공직자의 재산신고 현황을 공개했다. 국회의원의 경우 290명 중 189명(65.2%)이 재산을 불렸다. 1억원 이상 증가한 의원도 91명(31.4%)이나 됐고 10억원 이상 늘어난 의원도 5명이었다.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가 재산 총액 1629억원, 재산 증가액 841억7000만원을 기록하며 두 부문 모두 1위를 기록했다. 의원들의 경우 다이아몬드, 미술작품, 사자 박제 등 사치품도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법조계 고위 공직자 역시 214명 중 82%(176명)가 재테크에 성공했고, 평균 재산도 1억8220만원(9.6%) 늘어난 20억1171만원으로 집계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전년보다 3억4970만원 오른 35억1924만원을 신고했다. 대통령 비서실과 국가안보실, 경호실 소속 재산공개 대상자 51명 중 41명(80%)이 재산이 늘었다. 우병우 민정수석은 393억6754만원을 신고해 관가(官家)에서 가장 큰 ‘재력가’인 것으로 조사됐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