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기습적인 무공천 반격에 허를 찔린 친박(친박근혜)계는 당황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원유철 원내대표가 권한대행을 맡거나 최고위원회를 비상대책위로 전환하는 카드를 검토했지만 뾰족한 대응 방안을 찾아내지 못했다.
원 원내대표와 서청원 김태호 이인제 이정현 최고위원,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24일 오후 5시 긴급회의를 열었다. 최고위회의가 아니라 간담회 형식을 취한 것은 회의소집권이 김 대표에게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김 대표가 5개 지역 의결 거부를 일방적으로 선포한 데 격노했다. 특히 이런 방침을 당적변경 시한이 지나 밝힌 것을 두고 부글부글 끓었다. 5곳에 단수 추천된 후보들은 이른바 ‘진박(진실한 친박근혜) 후보’들로 꼽히는 이들이다. 친박 주류가 지원하는 후보들이 무소속 출마의 길마저 막힌 상황이 된 것이다.
이들은 최고위원 집단사퇴 등 김 대표를 압박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했다. 원 원내대표는 “만약 김 대표가 끝까지 최고위 소집과 진행을 거부한다면 당헌·당규에 근거해서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했다.
당헌 30조는 ‘당대표가 사고, 해외출장 등으로 인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원내대표 등이 그 직무를 대행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서 최고위원은 권한대행을 둘 수 있는 조건을 거론하면서 “당무를 거부해서 나갔는데 안 오면 ‘사고 등’(에 해당하는 것)이다”고 했다.
이에 김 대표 측은 “당대표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원내대표, 최고위원 순으로 직무를 대행할 수 있지만 지금 그런 상황은 아니지 않느냐”고 했다.
친박 최고위원들은 ‘비대위 카드’도 논의했다. 비대위 체제로 전환되면 최고위는 해산되고 비대위원장은 대표의 지위와 권한을 갖게 된다. 김 대표를 끌어내리고 친박 비대위를 꾸리겠다는 전략이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비상상황임을 감안해 대안을 찾고 있다”며 “지금은 심리적 분당 상태”라고 했다.
최고위 기능이 상실되는 등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대책위원회를 둘 수 있지만 비대위원장은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당대표 또는 권한대행이 임명해야 한다. 하지만 전국위원회의를 소집하기 사흘 전 미리 이를 공고해야 하는데 이런 절차를 따르다보면 진박 후보들은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된다.
일부 친박 의원들은 만찬 회동을 갖고 향후 대책을 모색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였다.
김경택 권지혜 기자 ptyx@kmib.co.kr
김무성 ‘공관위 공천’ 의결 거부에 ‘뾰족수’ 없는 친박, 분통만…
입력 2016-03-24 21:59 수정 2016-03-24 2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