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테이 희비… “편의시설 좋아져” vs “간접적 재산피해”

입력 2016-03-24 21:23
주택난을 덜기 위한 기업형 민간임대주택(뉴스테이) 건립 예정지의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지역별 특성과 여건에 따라 ‘고급형 임대주택’에 대한 찬반의견이 엇갈리는 양상이다.

24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올해 전월세 시장과 중산층 주거 안정을 위한 뉴스테이 5만 가구를 짓기로 했다. 뉴스테이가 처음 도입된 지난해 2만4000가구의 2배가 넘는 규모다. 국토부는 지난달 초 ‘뉴스테이 추진단’을 새로 발족하고 본격 건립사업에 착수했다. 뉴스테이 2년차인 올해부터는 노후된 산업단지 등에도 주택을 지을 수 있게 돼 복합적 도심개발 정책으로 자리를 잡게 될 전망이다.

하지만 뉴스테이 건립지 주변 주민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2014아시안게임 경기장 인근 개발제한구역에 뉴스테이 조성이 추진 중인 인천시의 경우 주민들이 “체육공원 부지에 아파트 건설은 부당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뉴스테이가 들어서면 조망권을 해치는 것은 물론 인근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는 등 재산가치가 하락하는 피해를 입게 된다”며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3000여명이 서명한 명단을 연수구청에 제출하는 등 반발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선학경기장 인근 주민 김모(55)씨는 “주거선택권 확대를 위한 뉴스테이 건립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간접적 재산피해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국토부와 인천시는 계양경기장 북측 13만㎡, 남동경기장 남측 5만6000㎡, 선학경기장 남측 13만8000㎡ 등 3곳을 선도사업 지구로 선정하고 2020년까지 3300가구를 임대 공급할 계획이다.

경기 과천에서는 옛 도심 위주의 재건축 분양시장에 악재가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올 들어 개발제한구역인 주암동에 뉴스테이 5200여 가구와 일반분양 500여 가구가 공급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별양동 등 재건축을 앞둔 조합원들이 술렁이고 있다.

이들은 “입주시점이 겹치는 뉴스테이에 청약자들이 몰리면 재건축 아파트 일반분양은 찬서리를 맞게 된다”고 걱정하고 있다. 과천지역에서는 현재 주공6단지 등 4곳의 대형 단지가 아파트 철거 절차를 진행 중이다. 2014년 안전진단이 실시된 주공 4·5·8·10단지 등 나머지 대부분 아파트 단지들도 재건축 조합 설립을 서두르고 있다.

반면 그동안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고 병원과 대형마트 등 생활편의시설이 부족했던 서울 우면동 보름자리지구 등은 생활 기반시설 확충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반색하고 있다. 우면동 주민 박모(40·여)씨는 “마트에 한 번 가려면 40분이상 버스를 타야하는 데 뉴스테이가 들어서면 그런 불편이 사라질 것”이라고 반겼다.

국토부 관계자는 “중산층을 겨냥한 뉴스테이는 전월세 시장 안정과 함께 단순 시공에서 주택의 유지·보수·관리 등을 통한 기업의 내수시장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효율적 주거대책”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