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23일에도 유승민 의원 공천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유 의원은 새누리당을 탈당, 무소속 출마를 선택했다. 이날 자정까지 당적을 정리하지 않을 경우 무소속 출마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공천관리위원회는 유 의원 공천 여부를 후보등록이 시작되는 24일 오전 재논의키로 함으로써 유 의원이 탈당할 수밖에 없게 만들었다. 이한구 공관위원장과 친박이 주도한 유승민 몰아내기 방식은 역대 집권당에서 볼 수 없었던 졸렬한 행태다. 공천을 하자니 박근혜 대통령의 분노가 눈에 어리고, 공천에서 배제시키자니 여론의 질타가 무서웠던 것이다.
공천 여부 결정을 둘러싸고 공관위와 최고위원회가 보여준 어이없는 ‘핑퐁 게임’도 정치를 한낱 패거리 싸움으로 전락시킨 무책임의 극치다. 이게 지금 집권당의 모습이다. 그러니 대구나 서울 강남 등 여당 텃밭의 후보 경선에서 친박 후보들이 떨어지는 것이다. 새누리당 지도부 어느 누구도 이런저런 부담이 있으니 매끄럽게 처리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건의를 터놓고 박 대통령에게 못했기 때문 아닌가.
작금의 유승민 사태가 국민들에게 어떻게 비칠지 뻔히 알면서도 그 기조를 바꾸지 못하는 당내 사정을 보면 과연 공당의 기능을 하고 있는지조차 의심스럽다. 선거 운동 국면에 들어가고, 총선 이후 국정 운영에 드라이브를 걸면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지나갈 것으로 여긴다면 대단한 착각이다. 당내 리더십이 이렇게 허물어져 있는데 총선 이후 국정을 주도하는 집권당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
대통령이나 친박은 유 의원이 원내대표 시절 현안 처리를 잘못했고 원내대표로서 이견을 보인 것에 대해 상당히 분노했을 수 있다. 그 책임을 물어 원내대표에서 사퇴시켰으면 일단락된 것이다. 그런데도 의견을 달리했다는 것을 빌미로 사실상 당에서 쫓아낸 행위는 정치적 보복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친노·운동권 패권주의를 비판하면서 정작 당내에서는 친박 패권주의를 추구하는 것은 아닌가. 도저히 같은 당에 있을 수 없다고 판단했다면 공관위가 처음부터 당당하게 명분을 내세워 유 의원을 탈락시켜야 했다. 고사 작전은 한솥밥을 먹었던 정치인, 나아가 한 인간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가 아니다.
새누리당의 20대 국회의원 공천은 총체적으로 국민들에게 신선한 감동을 주지 못했다. 비례대표는 최고위원회가 재심을 요구할 정도로 내용이 빈약했다. 청년·여성·소수자 배려를 강조해왔지만 구색 갖추기 수준으로 끝나버렸다. 게다가 공천 학살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계파적 패권주의가 횡행했고, 막말 파문으로 공천에서 배제된 윤상현 의원의 무소속 출마라는 꼼수도 등장했다. 유권자들의 의식 수준을 너무 가벼이 보는 것 같다. 이런 공천의 결과를 선거에 가감 없이 반영하는 것이 민주주의의 대의 정치에서 유권자들이 할 일이고 책임이다.
[사설] 새누리,유승민 꼭 이렇게 내쳐야 했나
입력 2016-03-23 17:39 수정 2016-03-24 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