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12·28 일본군 위안부 합의’ 타결 이후 처음으로 한·일 국장급 위안부 문제 협의가 열렸다.
정병원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은 22일 도쿄에서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만나 위안부 합의 이행을 위한 후속조치를 논의했다.
양국은 일본 정부 예산 10억엔(약 103억원)으로 설립할 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과 관련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측은 일본 정부가 위안부 연행의 강제성을 부인하는 등 합의 정신을 훼손하는 행동을 자제하라고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8일 검정을 통과한 일본 고교 교과서에 독도 영유권 주장이 강화된 데 대해서도 항의 메시지를 재차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일본 산케이신문은 한·일 양국이 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 설립 작업을 올여름부터 본격 착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재단 설립에 맞춰 서울 주한 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소녀상을 철거할 수 있도록 조율 중이라고도 전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위안부 피해자 지원기관인 여성가족부 등과 긴밀히 협의해 재단 설립 준비를 착실히 진행 중”이라면서 “합의가 착실하고 신속히 이행돼 위안부 피해자들의 걱정을 덜고 지원하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라고만 밝혔다.
한·일은 2014년 4월부터 12·28합의가 도출된 지난해 말까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국장급 협의를 12차례 열었다. 12·28합의 이후에는 합의 이행을 위한 후속조치 및 한·일 양국의 관심사 전반을 논의하는 통로로 성격이 다소 조정됐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12·28합의 이후 첫 韓·日 국장급 협의… ‘위안부피해재단’ 집중 논의
입력 2016-03-22 2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