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소금 이어 ‘설탕과의 전쟁’ 나선다

입력 2016-03-20 21:11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한 종합대책을 이달 중에 내놓는다. 전문가들은 당류를 비만과 당뇨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20일 “당류 저감 목표와 저감 대상 식품 선정 등에 관한 제1차 당류저감 종합계획을 이달 중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먼저 음료수, 과자 등 가공식품에 포함된 당류의 양을 정확히 표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설탕을 덜 쓰면서 단맛이 나게 하는 조리법과 기술 등도 널리 알릴 방침이다.

그러나 최근 영국이 2018년까지 도입 계획을 밝힌 ‘설탕세’는 대책에 포함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은 100㎖당 설탕이 5g 이상 함유된 음료에 세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식약처는 올해 초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당류 영양성분 기준치를 오는 6월에 설정하겠다고 발표했었다. 음료류 등 주요 당류섭취 식품별로 연도별 목표 저감률도 정하기로 했다. 11월에는 시리얼류 등으로 당류 영양표시 의무 대상을 확대하고 12월까지 음료수와 과자, 빵, 커피의 당류 저감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설탕 섭취량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다만 나이가 어릴수록 섭취가 많은 점은 문제로 지적된다. 2008∼2011년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 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12∼18세 13.0%, 6∼11세 13.9%, 3∼5세 16.4%, 1∼2세 19.3% 등 어릴수록 당류 섭취 비율이 높았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