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 통합’ 다시 수면 위로

입력 2016-03-20 20:33
지난 20년간 세 차례나 무산된 전북 ‘전주시·완주군 행정구역 통합’ 문제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예비후보들이 통합 찬반 논쟁을 벌이고 있는데다, 완주군 선거구가 진안·무주·장수군과 한데 묶여 효율성 문제가 제기되면서 논란은 머잖아 공론화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각 예비후보 선거사무실에 따르면 전주지역 후보들은 통합을 강력하게 주장하는 반면, 완주지역 후보들은 적극 반대하고 있다.

전주병 출마를 선언한 정동영 예비후보는 “전북을 변방에서 중심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선통합이 필요하다”며 “대전이나 광주시에 눌려 찌그러진 전북이 기를 펴기 위해서는 전주가 완주군 봉동·삼례와 붙고, 나아가 익산과 붙는 북서진 정책으로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전주을에 출사표를 던진 엄윤상 후보도 “젊고 강한 도시, 호남의 중심이 되는 전주로 만들고 전국 5대 도시 재도약과 전북의 새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완주와의 통합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완주권 후보들은 “통합은 정치적 논리가 아닌 주민의 뜻에 따라 진행돼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김정호(완주·무주·진안·장수) 후보는 “통합 재추진 얘기는 세 차례의 통합 시도 무산으로 후유증에 시달리는 완주군민에게 다시 상처를 주는 행위”라고 일축했다. 같은 선거구의 이돈승 후보도 “전주 시민의 표를 의식해 완주군민은 아랑곳하지 않는 후보들이 한심하다”며 철회를 요구했다. 이와 관련 박성일 완주군수도 지난 1월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군민간의 갈등이 완전히 치유되지 않은 상태에서 논의를 다시 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전주시와 완주군의 통합건은 1997년을 시작으로 2009년, 2013년 세 차례 추진됐으나, 모두 무산됐다. 2013년 실시된 통합 투표에서는 완주군민 55%가 반대표를 던졌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