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대표의 ‘이한구 공천안’ 거부를 놓고 새누리당 지도부가 18일 재충돌했다. 4·13총선 후보등록(24∼25일)을 코앞에 두고 집권여당 내 ‘자중지란(自中之亂)’이 사흘째 이어지면서 여권 내 선거 패배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새누리당은 18일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유승민계와 이재오 의원 등을 탈락시킨 공천관리위원회의 7차 공천 결과와 유승민 의원 공천 문제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정회했다. 심야에 재개된 회의에서도 김 대표의 표결 거부로 7차 공천심의안은 의결이 이뤄지지 않았다.
회의에서 김 대표는 공관위 7차 공천 결과에 대해 “당헌·당규를 지키지 않고 현역 의원을 탈락시킨 것은 독재정권에서 하던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을동 최고위원도 “밀실공천”이라며 고성을 지르며 김 대표를 옹호했다. 이에 맞서 다수인 친박계 최고위원들은 “공관위와 공천 작업을 조속히 정상화시켜야 한다”며 공천 결과를 받아들이라고 김 대표를 압박했다. 또 김 대표에게 공관위의 공천 결과를 비판한 것에 대해 사과를 요구했지만, 김 대표는 사과 요구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고위는 유 의원 공천 문제에 대해서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오전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유 의원 공천 찬반에) 뚜렷한 온도차가 있는 것은 분명하고, 진통이 굉장히 높은 단계에 있다”고 설명했다. 친박계 최고위원들은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며 박근혜정부 정책을 반박한 유 의원의 원내대표 시절 언행이 당 정체성에 위배되는 공천 배제 사유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고위는 공천 탈락한 주호영 의원에 대한 ‘재의’ 과정에 정족수 미달 등 법적 하자가 있었다고 판단, 공관위가 주 의원 공천심사안에 대해 다시 논의할 것을 결정했다.
김 대표가 ‘3·15 공천학살’로 불리는 공천 결과를 무조건 의결할 수 없다며 버티기에 나서면서 당내 일각에선 김 대표가 공천장에 대표 직인(職印)을 찍어주지 않는 ‘옥새 투쟁’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최고위 내분 속에 이날 오후 예정됐던 공관위회의도 취소됐다. 또 전날 낙천 후 탈당한 3선의 진영 의원에 이어 조해진 안상수 의원도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한편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은 새누리당 지도부의 총선 선거대책위원장 제의를 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3면
한장희 권지혜 기자 jhha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金 ‘옥새 투쟁’… 與 자중지란
입력 2016-03-18 21:35 수정 2016-03-19 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