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향후 5년간 1조원을 투자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17일 AI·소프트웨어(SW) 전문가 등 민간 전문가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지능정보사회 민관합동 간담회를 개최했다. 박 대통령은 “AI에 막연한 불안감을 갖기보다 사람 중심의 실용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면서 “우리가 보유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강점과 문화적 역량을 바탕으로 AI 중심의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민간 주도의 기업형 ‘지능정보기술연구소’ 설립을 골자로 하는 지능정보 산업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네이버, 현대자동차 등 국내 대표 기업들이 연구소 설립에 참여한다. 정부는 5년간 정부가 1조원을 투자하고, 민간 분야의 투자 2조5000억원을 유도하는 등 ‘한국형 알파고(구글 딥마인드 AI)’ 개발 및 관련 산업 활성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지능정보는 AI보다 넓은 개념으로 AI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으로 대표되는 정보기술까지 포함한다.
미래부는 지능정보 기술과 산업의 성장이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능정보사회 추진 중장기 종합 계획을 6월까지 수립해 발표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관계부처와 과학기술, 인문사회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추진 체계를 구성할 예정이다.
간담회에는 김진형 SW정책연구소장, 김대식 카이스트 교수를 비롯한 AI 및 SW 관련 기업인, 전문가와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 관계 장관 등 40여명이 참석했다.
김준엽 남혁상 기자 snoopy@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민관 5년간 AI 육성에 3조5000억 투자… ‘지능정보기술연구소’ 설립
입력 2016-03-17 2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