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자-김지방] 언론 떼어놓고 이사가는 금융위

입력 2016-03-17 21:32

프레스센터에 입주한 금융위원회가 오는 5월 정부서울청사로 옮기면서 기자실과 브리핑룸 설치는 미루고 있어 출입기자들의 불만이 비등하고 있다. 정부 살림을 맡은 행정자치부가 “기자실이 들어설 5층에는 자리가 없다”며 8월 이후에나 공간을 마련한다는 방침을 세웠기 때문이다. 넉 달 가까운 시간 동안 언론은 세종대로 반대편의 프레스센터에 남겨두겠다는 것이다.

금융위 이전을 총괄하는 행자부는 금융위가 들어설 15, 16층은 이미 비어 있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들어오라고 재촉하면서도 기자실 설치는 미루고 있다. 부처 이동으로 공간 마련이 어렵다는 것이다. 행정편의만 생각하는 발상이다.

정부 부처에 기자실과 브리핑룸을 두는 것은 시민의 눈으로 행정부를 감시하고 정부의 활동을 정확하게 알릴 언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민 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행정력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결정되고 집행되도록 정보를 공개해야 할 의무가 정부에 있다. 박근혜정부에서 강조하는 정부3.0의 취지도 다르지 않다. 정부가 보도자료를 만들고 시민이 요구하는 정보를 공개하는 수준에서 나아가 아예 정부 자료를 국민이 자유롭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뜻이다. 금융위가 일반인이 출입하기 까다로운 정부청사로 옮기면서 기자들을 떼어놓고 가는 것은 ‘반(反)정부3.0’ 행동이다.

기자실 통폐합으로 언론의 거센 반발을 불렀던 참여정부도 이런 일은 없었다. 당시에는 모든 시민에게 정보를 공개한다는 명분이라도 있었고, 기자실을 더 넓히고 인터넷 매체나 1인미디어의 출입을 허용하는 노력도 있었다. 정보공개 제도도 만들었다. 지금은 공무원들의 행정 편의나 비용절감 외에 아무런 명분이 없다.

금융위 고위관계자는 “청사 안에 기자들이 임시로 머물 공간을 마련하고, 기자실에 수시로 와서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같은 건물 안에 있는 지금도 기자실에서 보기 힘든 관료들이 세종대로를 얼마나 성실하게 건너올지 의문이다.

김지방 경제부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