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주요 단체들이 참여하는 한국교회총연합네트워크(한교총네트워크)는 4·13 총선을 앞두고 한국교회와 사회의 현안에 대한 정책제안서를 17일 발표했다. 이 제안서는 이날부터 주요 정당과 총선 입후보자들에게 전달된다. 한교총네트워크는 다음달 1일까지 답변을 받아 신문에 발표하고 TV간담회, 평가회의 등도 갖기로 했다.
한교총네트워크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대학로 한국기독교회관 2층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역사정립, 통일, 문화·교육, 사회, 지역·기후환경 등 5대 분야에서 한국교회의 뜻을 담은 정책제안을 내놓았다.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역사정립’ 분야에서 ‘자유민주주의적인 정체성 확립’ ‘역사정립특별위원회 설치’를 제안했다. 이병대 한국교회언론회 사무총장은 “자유민주주의라는 정체성 위에 굳게 서서 공정한 경쟁과 약자 배려, 양극화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역사학 등 각 분야 학자를 구성원으로 하는 ‘역사정립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새롭게 역사를 편찬하고 정통성 있는 역사연구와 대중서적 출판지원, 대중매체를 통한 역사 바로 알리기를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통일’ 분야에선 ‘자유민주평화통일의 추구’ ‘북한동포 지원센터 확대’를 제안했다. 오치용 한국장로교총연합회(한장총) 비전70사업단장이 “통일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탈북민들이 민족의 동질성을 갖게 하고 통일의 주역이 되도록 북한동포지원센터를 보완·확대하자”고 요청했다.
‘문화·교육’ 분야에선 ‘근대문화 지원’ ‘한국기독교역사문화원 설립 지원’ ‘사립학교법 개정’ ‘선지원·후추첨 제도 실시’ 등을 제안했다. 박명수 한국기독교공공정책협의회(기공협) 전문위원은 “한국교회가 근대화와 독립운동, 대한민국 건국, 민주화, 산업화, 국제화에 미친 영향이 큰데도 이를 종합·정리하고 발굴, 연구 및 홍보하는 일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며 근대문화지원법 제정과 한국기독교역사문화원 설립 및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종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을 할 수 있도록 중·고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에게 원하지 않는 종립학교를 기피하게 한 뒤, 추첨하는 ‘선지원 후추첨 제도’를 실시하자”고 말했다.
‘사회’ 분야에선 ‘동성애 조장 및 포괄적 차별금지법 반대’ ‘테러예방을 위한 입국비자 강화’ ‘이슬람 할랄식품 도입 반대’ 등을 제시했다. 박종언 한국교회연합(한교연) 인권위원장은 동성애와 관련, “사회공동체와 국가의 존립을 위해 동성애 조장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동성애 조장 및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반대, 탈동성애 역차별 금지를 위한 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역·기후환경’ 분야에선 ‘택지개발촉진법 등 현행 개발악법 반대’ ‘학원 휴일휴무제 법제화’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취약층 지원 확대’ 등을 제안했다.
이영훈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대표회장은 인사말에서 “한국교회에 연합과 일치가 약화되고 물질주의, 세속주의 물결이 들어와 있는데 4·13 총선을 앞두고 한목소리를 내 기쁘다”면서 “한국교회는 예언자적 사명으로 나라가 바로 서는 데 공헌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일래 한교연 대표회장도 “총선을 앞두고 정말 나라를 위한 참된 길이 무엇인가 제안하려는 것”이라며 “나라를 위해 기도하는 기독교인들의 애국심에서 오늘 이 자리가 나왔다는 점을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교총네트워크에는 한기총과 한교연 한장총 미래목회포럼 한국교회언론회 기공협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지난달 중순 네트워크를 구성한 뒤 3차례 회의를 통해 5대 정책과제를 선정했다.
유영대 이사야 기자 ydyoo@kmib.co.kr
“하나님 공의 따른 정책 마련해 달라” 한교총네트워크, 총선 정당·후보자에 5대 분야 정책 제안
입력 2016-03-17 21:02 수정 2016-03-17 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