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통합·연대를 둘러싼 국민의당 내분이 안철수 공동대표의 승리로 끝났지만 ‘여진’은 계속되고 있다. ‘통합·연대파’ 김한길 의원이 여전히 입장을 바꾸지 않고 있는 데다 무소속 최재천 의원은 “천정배 공동대표가 안 대표를 빼고 통합에 나설 의지가 있었다”고 폭로했기 때문이다. 천 대표와 김 의원은 결과적으로 아무 성과 없이 당에 상처만 남긴 셈이어서 이들의 당내 입지는 크게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안 대표는 1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천 대표가 복귀했다. 고맙다”면서도 “새누리당 압승에 대한 공포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정치공학만으로는 승리를 담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과의 수도권 지역 선거 연대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분명히 한 것이다.
천 대표는 “공동대표의 한 사람으로서 우리 당 승리를 위해, 새누리당 압승을 저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회의 공개 발언에서 수도권 선거 연대에 대한 언급은 나오지 않았다. 한 당직자는 “안 대표의 승리다. 통합·연대 불가로 상황은 정리됐다”고 했다.
천 대표가 ‘당 대 당’ 야권 연대를 포기하고, 당내에서도 이 주장이 급속히 사그라진 이유는 통합·연대파가 안 대표와의 명분 싸움에서 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3당 체제 정립을 위해 창당한 지 1달여 만에 ‘상황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합당을 주장하는 것은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많았다.
각자의 이권을 위해 통합·연대를 추진한다는 지적이 나온 점도 악재였다. 김 의원의 경우 지역구인 서울 광진갑의 단일화 문제가 걸려 있었고, 천 대표는 ‘자기 몫’의 공천권을 행사하기 위해 안 대표를 압박한다는 의혹이 제기됐었다.
더민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야권연대론에 대해 엇박자 행보를 보였던 것도 이 논의가 좌초된 이유로 꼽힌다. 김 대표는 통합 제안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안철수 고립론’을 언급했다. 이에 국민의당 의원 대다수는 “진정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의원총회 끝에 ‘통합 불가’ 결론이 나온 이유다. 천 대표와 김 의원은 재차 수도권 연대를 주장했지만 김 대표는 수도권 연대에 대해 ‘나눠먹기’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안 대표는 “김 대표가 하지 않겠다고 하는데 어떻게 하느냐”고 반박했다. 이 과정에서 안철수계와 천정배·김한길계 사이의 갈등과 네 탓 공방이 불거졌다. 한 당직자는 “뭐든 성사시키려고 했다면 5선 의원인 천 대표와 4선 의원인 김 의원이 정치력을 발휘했어야 했던 것 아니냐”고 했다.
이 가운데 최 의원은 ‘폭로전’에 나섰다. 그는 언론과의 접촉에서 “천 대표는 안 대표가 끝까지 통합에 반대하면 안 대표를 빼고 국민의당 내 통합파와 더민주를 합치려는 의지가 있었다”고 했다. 하지만 천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전혀 그런 일 없었다”고 했다.
이날 최고위에 ‘국민 대표’로 초대받은 정보통신(IT) 기업 씨투소프트 최훈민 대표는 “국민의당 역시 최악의 길을 걷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옳고 그름의 차이가 아니라 색다른 정치를 기대했는데 결과적으로 똑같은 정치를 하고 있다”고 강력 비판했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천 대표와 김 의원은 연대를 성사시키기 위한 명분, 논리, 정치력을 보여주지 못했다”며 “당에 상처만 남긴 3무(無) 야권통합 구상이 아니었느냐”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폭로·진실게임·네탓 공방… 김한길·천정배, 당에 상처만 남겼다
입력 2016-03-16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