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암을 막는 새로운 유전자(DNA)를 찾아냈다. 이 유전자를 활용하면 악성 백혈병 등 혈액암은 물론 간암 대장암 폐암 같은 고형암(solid cancer) 치료에도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고명곤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TET’ 단백질이 없거나 부족하면 악성 골수성 백혈병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쥐의 조혈모세포에서 높게 발현되는 ‘TET2’와 ‘TET3’ 단백질을 모두 없앴더니 1주일 안에 조직 및 세포에서 암의 징후를 관찰했다. 이 쥐들은 4∼5주 안에 악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모두 죽었다.
TET 단백질은 DNA에 작용하는 효소다. 이 단백질이 결손되면 DNA 손상을 초래한다. 이런 손상이 자꾸 쌓이면 암세포가 촉진된다. 고 교수는 “TET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나 활성을 유전자 단위에서 조절하면 악성 백혈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TET 단백질은 간암 등 다양한 종류의 암에서도 암 억제 유전자로 작동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암 막는 유전자 찾았다… UNIST 고명곤 연구팀 규명
입력 2016-03-16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