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학교와 마을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이 시작된다. 학교를 새로 짓거나 증축할 때 설계단계부터 마을 주민이 참여한다. 학교는 주민과 학생이 공유하는 공간으로 만든다.
이렇게 되면 학생은 마을 공동체의 인적·물적 체험 인프라를, 주민은 학교 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인의 학교 출입이 많아지면 학생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서울시교육청은 16일 ‘마을결합형 학교 건축계획’을 발표하고 올해 새로 짓는 가락일초, 녹원초, 천이초, 내곡중과 이전 예정인 공항고 등 5곳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0년까지 초·중·고교 18곳으로 확대한다.
마을결합형 학교는 학교 건물을 신축하거나 개축할 때 서울시·자치구·학부모·지역주민 등이 참여해 설계를 한다. 학생 수업권을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지역주민의 학교시설 이용 편익을 고려해 건물배치, 동선계획, 보안시스템을 반영한다.
마을결합형 학교의 ‘어울림 교육공간’은 도서관·북카페·주민교실 등으로 이용된다. 지역주민은 수업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쓸 수 있다. ‘안심 교육공간’은 학교와 마을의 CCTV 통합관재센터로 쓰이고, 재난이 발생했을 때 이재민을 수용하는 공간도 된다. ‘지성·감성·인성 기르는 창의교육’ 공간에는 산책로를 조성하고 운동기구를 설치한다. 남는 공간에는 꽃밭과 텃밭을 조성토록 했다.
마을결합형 학교의 문제는 학생 안전이다. 학교 주변에 거주하는 성범죄 전력자 등 우범자들이 아무런 제지를 받지 않고 학교를 들락거릴 수 있다. 교육 당국은 과거에도 학교시설을 외부에 개방해 지역사회와 소통하려는 시도를 해왔지만 번번이 안전이 발목을 잡았었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범죄에 일부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지만 장점이 더 많다. 지역사회와 학교가 함께 호흡하는 것은 학생 교육에 바람직하다”며 “건물 설계단계부터 학생과 주민의 동선이 분리되도록 만들고, 시설 이용에 시차를 둬 불미스러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서울교육청의 ‘마을-학교 결합 실험’
입력 2016-03-16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