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核 안보 무대서 ‘북핵’ 압박한다… 이달 말 핵정상회의 참석

입력 2016-03-16 21:52
박근혜 대통령이 이달 말 참석하는 제4차 핵안보정상회의는 핵물질 관리 등 핵 안보 이슈 외에 4차 핵실험 도발을 감행한 북한에 대한 제재 이행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물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등 주요국 정상들이 모두 참석하는 만큼 다양한 양자 회담을 통해 ‘북핵 이슈’를 논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박 대통령은 이번 회의를 통해 북한의 핵 포기를 거듭 촉구하면서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국제사회의 철저한 압박과 제재가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 회의는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도발 이후 처음 열리는 다자 정상회의다. 그런 만큼 박 대통령으로선 한·미·일 3국 간 철저한 대북 공조를 재확인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일본 언론 등 외신들에 따르면 한·미·일 3국 정상은 이번 회의 기간 별도의 3자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쪽으로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16일 “해당국들과의 협의가 완료되는 대로 관련 일정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3국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북한 정권이 핵 포기를 선택할 수밖에 없도록 양자 및 다자 차원의 제재 이행 방안 관련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2년 전인 2014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3차 핵안보정상회의에서도 박 대통령은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통해 대북 안보 공조 원칙을 확인한 바 있다.

시 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 개최 여부 역시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북한 핵실험 이후 “어려울 때 손을 잡는 것이 최상의 파트너”라며 대북 압박을 위한 중국의 적극적 역할을 거듭 강조했었다. 박 대통령이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질 경우 다시 한번 북한의 변화를 위한 중국의 역할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이른바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제재에 미온적으로 대응했으나 일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270호 채택 이후 빈틈없는 이행을 약속한 바 있다.

핵안보정상회의 직후 이뤄지는 박 대통령의 멕시코 공식방문은 경제영토 확장 차원에서 이뤄진다. 박 대통령은 엔리케 페냐 니에토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우리 기업의 에너지·교통·인프라 건설 참여, 정보통신기술(ICT), 과학기술 등 고부가가치 분야에서의 협력 등 미래 성장동력 창출을 통한 경제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우리 제조업체들이 ‘미주 대륙의 생산기지’로 불리는 멕시코 진출 기반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